[더 나은 울산, 시작은 교통안전 문화 개선부터]산업도시 특성상 화물·이륜차 많아 통행방법 등 경각심 필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책 추진과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울산의 교통안전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중구의 교통문화지수가 100점 만점에 79점으로 23위를 기록, B등급을 획득해 전년(62위) 대비 40계단 오른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군은 대부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하락했다. 남구는 77점, 42위(전년 10위)로 C등급, 동구는 77점, 39위(전년 48위)로 역시 C등급이었고, 북구는 76점, 47위(전년 32위)로 D등급, 울주군은 80점, 49위(전년 22위)로 C등급을 차지했다. 전반적으로 교통문화지수가 하락한 가운데 울산의 교통 환경과 운전자들의 위험한 운전 습관 등 기존 문제점을 우선 파악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타 광역시도 대비 높은 화물차 사고율
울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로,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관련 대규모 산업단지가 집중돼 있다. 이에 산업 물류와 관련된 교통 환경의 중요성이 높은 도시다.
이에 울산의 교통 환경은 산업 중심적인 특성을 상당 부분 반영해 물류와 근로자의 이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주요 간선도로에서는 화물차와 같은 중차량의 통행량이 많다. 덩치가 큰 화물차는 교통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화물차는 차량의 크기가 승용차보다 커 넒은 점유 면적을 차지한다. 여기에 가감속 능력, 넓은 회전 반경 등 차량 운행 능력이 승용차보다 떨어진다. 결정적으로 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가 크다.
울산의 경우, 전체 차종별 사고 건수 대비 화물차 사고율이 인구가 비슷한 타 광역시도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전이 9.6%, 대구가 10.0%, 광주는 10.1%를 보였지만 울산은 12.3%로 나타났다.
주요 산업단지와 국도, 고속도로 진입로가 위치한 남구, 북구, 울주군에서 화물차 교통사고가 잦고, 사망자도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울산에서 총 466건(사망 15명)의 화물차 교통사고가 있던 것으로 집계됐다. 울주군이 137건(사망 7명), 남구 124건(사망 2명), 북구 105건(사망 4명), 중구 72건(사망 1명), 동구 28건(사망 1명) 순이었다.
차대차 사고가 328건(83.0%)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사고 원인은 운전자 부주의(안전운전 불이행+안전거리 미확보)가 352건(75.5%), 중요법규 위반(신호+교차로통행+중앙선침범) 75건(16.1%) 순이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남구 달동 일대에서 승용차가 우회전 중 자전거를 들이받은 사고와, 11월 울주군 이예로 일대에서 화물차가 고장으로 정차한 화물차를 추돌한 사고 등은 안전운전 불이행으로 밝혀졌다.
화물차 교통사고 발생은 지난해 기준 화요일(93건)과 금요일(90건)에 발생 빈도가 높았고, 사망자는 월요일(4명), 수요일(5명)에 집중 발생했다. 교통량이 증가하는 퇴근 시간(오후 4~6시)에 사망자가 20.0%(3명) 발생해 가장 취약한 시간대로 확인됐고, 물류 운송이 활발한 오전 8시~낮 12시, 오후 2~6시에 257건(55.2%)으로 교통사고가 빈번했다.
화물차 교통사고 5개 구·군별 현황 (단위:명) | ||||||||||||
구 분 | 전 체 | 중 구 | 남 구 | 동 구 | 북 구 | 울주군 | ||||||
발생 | 사망 | 발생 | 사망 | 발생 | 사망 | 발생 | 사망 | 발생 | 사망 | 발생 | 사망 | |
2024년 | 466 | 15 | 72 | 1 | 124 | 2 | 28 | 1 | 105 | 4 | 137 | 7 |
2023년 | 500 | 7 | 76 | 1 | 137 | 0 | 27 | 0 | 122 | 2 | 138 | 4 |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 원인 (단위:명) | ||||||||
구 분 | 계 | 신호위반 | 중침 | 안전거리 | 교차로 | 안전운전 | 보·불 | 기타 |
사 망 | 7 | 0 | 0 | 0 | 0 | 7 | 0 | 0 |
발 생 | 382 | 73 | 15 | 40 | 15 | 182 | 22 | 35 |
◇근로자 이용 많은 이륜차 교통사고도 꾸준
최근에는 플랫폼 기반 경제의 급속한 확산으로 이륜차 및 개인형 이동장치(PM)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점 또한 확산되고 있다.
TASS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이륜차 사고 치사율은 전체 교통사고의 치사율보다 약 1.6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륜차 사고가 중대한 위험을 야기함에도 시민들의 준법의식은 여전히 낮은 상태다. 울산에서도 상습 교통법규 위반 지역 교통 단속과 이륜차 공익신고 제보단의 신고 등으로 이륜차 교통 단속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울산의 이륜차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배달 수요 증가와 함께 기업체 근로자 이용이 많은 동·북구에서 주로 많이 나타나며, 사망자는 중·남구에서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울산에서는 총 382건의 이륜차 교통사고가 발생했는데, 동구(93건), 북구(85건), 남구(85건), 중구(74건), 울주군(49건) 순이었다.
사망자는 총 7명으로 남구(3명), 중구(2명), 동구(1건), 울주군(1건)이었다.
사고 발생 시간은 출·퇴근 시간(오전 6~8시, 오후 6~8시)에 100건(26.2%)이, 사망은 이륜차 이용이 많은 오전·오후 시간(오전 10~12시, 오후 6~8시)에 4명(57.1%)이 발생했다.
울산은 특히 기업체 근로자의 이륜차 이용이 많아 출·퇴근 시간대 이륜차의 통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체 차량 대비 이륜차 비율도 9.9%로 대구(8.7%), 광주(4.8%), 대전(5.4%) 등 타 광역시도에 비해 높은 편에 속한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운전자들은 올바른 운전 습관 및 통행 방법 준수를, 보행자들은 무단횡단에 대한 경각심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해당 기사는 경상일보와 울산경찰청이 공동으로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