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 지난해 연구개발비 역대 최대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의 영향에도 지난해 기술개발에 역대 최대 규모로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배터리 업계와 증권사 리포트 등에 따르면 삼성SDI는 지난해 3분기까지 연구개발(R&D) 분야에 전년비 18% 증가한 9861억원을 투자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도 1조1364억원 투자해 한 해 전 연구개발비를 두자릿수 이상으로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삼성SDI는 2022년(1조764억원) 이후 3년 연속 연구개발 투자비가 1조원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46파이 원통형 배터리·건식 공정 등 차세대 제품과 기술 투자에 주력하고, 국내외 연구소를 중심으로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같은 배터리 기업들의 전기차 캐즘에도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는 것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이 전기차로 전환될 것이라는 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수요 회복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특히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슈퍼사이클을 준비하고 올라타자”며 기술력 중심의 회사를 주문하기도 했다.
SK온은 지난해 매출 급감으로 인해 투자 여건이 급격히 악화했음에도 연구개발 투자액은 전년(3006억원)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에너지솔루션도 지난해 연구개발 투자액으로 전년(1조373억원)보다 6% 증가한 1조1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관련 투자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22년 8760억원에서 2023년 처음 1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에도 투자를 지속하는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기존 파우치형 배터리를 비롯해 리튬황 전지,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