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탄핵정국 속 국힘 김상욱 의원 행보 논란...정치소신과 당 입장, 지혜로운 조율 필요
2025-02-04 김두수 기자
탄핵 반대 당론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김 의원은 권성동 원내사령탑과 지역구인 남구갑 선출직 시·구의원들에게서 공개 탈당 압박을 받은 데 이어 지난 2일엔 오는 6월 말까지 임기가 보장된 시당위원장직 사퇴 압박까지 직면한 상황이다. 사실상 배신자와 반역자 프레임에 갇힌 상황이다.
◇계엄·탄핵정국 언동 평가 상반
김 의원은 국회의 12·3 비상계엄 표결에 이어 12·14 탄핵 표결 당시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본보 취재진과의 전화에서 “국회의원이란 헌법기관의 책무와 당론 중 당연히 헌법기관의 책임과 의무가 우선”이라며 “국민 우선,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게 정통보수다. 내가 과연 무엇을 잘못했나”라고 반문했다. 자신으로선 “절대 잘못함이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국민의 일반적인 여론도 김 의원의 시각과 별반 다르진 않다. 지난달 설을 앞두고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 전화면접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를 시행한 결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헌법재판소가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조사에서 탄핵 인용 60%, 기각 36%로 나타났다. 특히 이 조사에서 중도층에선 인용 73%, 기각 25%로, 지지 정당이 없다고 답한 무당층에선 인용 63%, 기각 24%였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계엄과 탄핵정국 초반 70% 이상의 탄핵 찬성 여론에 비해 다소 낮아진 추세일뿐, 탄핵 찬성 여론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김 의원이 소속당에서 미운털이 박힌 건 또 다른 정당정치 차원이다. 소속당의 탄핵 반대 당론에 반기를 든데다 탄핵 표결 이후에도 각종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당에 불리한 입장을 노골화하고 있다는 게 지도부의 얘기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당론은 탄핵 반대인데, 김상욱 의원은 당론을 정면으로 거슬렀을 뿐만 아니라 탄핵 표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당의 입장에 반하는 언동을 하고 있다”면서 “그럴 테면 당을 나가서 자유롭게 정치활동을 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이러한 압박에 대해 정치권에선 국회의원 개별 소신과 당론 가운데 헌법기관의 역할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김 의원의 향후 과제
김 의원의 언동과 관련해 다선 중진 일각에선 국회의원 신분과 당소속 의원으로서의 경계선을 원만히 수행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당의 명운이 걸린 대통령의 탄핵에 찬성하더라도 이후 언론 인터뷰 등에선 최소한의 윤리와 품격을 유지하면서 민감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5선 국회의원을 지낸 한 야권의 중진 정치인은 “김상욱 의원은 우리당(야당)과는 다르지만, 탄핵정국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평가할 만하다”면서도 “그럼에도 당소속 의원으로서 당의 입장을 존중하려는 노력도 가벼이 해선 안된다”고 했다.
울산 지역 여권 내 비주류 일각에선 “친윤 측에서 이준석·한동훈을 몰아내는 비상식적 방식이 울산시당에서 이뤄진다면 여론 역풍도 감안해야 한다”며 탈당 압박에 이어 시당위원장 사퇴 압박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각도 나타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