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맞춤형 산업전사 육성, 협약형 특성화고 사활 걸어야
울산시교육청이 지역 기반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협약형 특성화고’ 공모 재도전에 나섰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해 처음 실시한 공모에서는 준비 부족을 이유로 신청하지 않아 탈락한바 있다.
협약형 특성화고에는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역할이 부여돼 있다. 시교육청은 이번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교육청은 조만간 실시할 교육부의 협약형 특성화고 2기 공모에 신청서를 접수한다고 밝혔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특수 산업 분야나 지역 기반 산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자체-교육청-지역 기업-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학교다. 최대 45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지역 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지난해 1기 협약형 특성화고 공모에는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15개 지역 총 37개 연합체가 참여해 총 10곳이 선정됐다. 시교육청은 울산공고를 대상으로 공모 사업을 준비하다가, 학과 개편 및 지자체 연계, 기업 협약 등 준비 부족을 이유로 신청하지 못했다. 그 때문에 시교육청은 미래 인재 양성 의지가 부족하다는 따가운 비판을 받기도 했다.
지난해 선정된 1기 협약형 특성화고들은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산업 인재 육성에 많은 성과를 내 주목받고 있다. 포항흥해공고는 포스코그룹과 협약을 맺고 철강 분야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해 졸업생의 70% 이상이 그룹 계열사에 취업시켰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 분야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한 경주정보고는 졸업생의 50% 이상을 한수원에 취업시키는 성과를 냈다.
울산 기업들은 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인력을 제때 수급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일자리 ‘미스매칭’이 심각하다. 지역 산업의 특성 및 수요 맞춤형 교육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하지 않으면 지역 산업 및 고용시장 악화를 초래하는 부메랑이 될수 있다. 협약형 특성화고가 절실한 이유다.
울산은 지난해 2월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됐다. 울산시와 시교육청은 유아·돌봄부터 초·중·고, 대학·기업 등의 분야에서 ‘울산형 교육발전특구’ 과제를 수행 중이다. 울산 교육발전특구의 내실을 다지려면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은 필수적이다. 울산도 이제는 지역 산업 맞춤형 인재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