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산단, 완충저류시설 확충 서둘러야

2025-02-12     석현주 기자
최근 울산 산업단지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폭발 및 화재 사고로 유해 화학물질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를 차단할 완충저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화학물질 유통량과 취급량이 전국 최고 수준인 석유화학공단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완충저류시설 설치에 속도를 내는 등 환경 보호와 산업 안전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울산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산업단지에서 운영 중인 완충저류시설은 단 1곳에 불과하다. 이 시설은 2019년 착공해 2022년 완공된 울산미포국가산단(석유화학단지) 내 시설로, 총 387억원이 투입됐다.

온산국가산단 4분구(온산읍 당월리 502)와 울산미포국가산단 3분구(여천동 363-84)는 공사 진행중으로, 각각 2026년 말, 2027년 6월 준공 예정이다.

지난 10일 온산공단 유나이티드터미널코리아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 현장에는 완충저류시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사고수(유출된 오염수)는 오일휀스를 이용해 임시로 차단한 상태이며, 지정폐기물로 분류해 전문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완충저류시설 설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완충저류시설은 산업단지 내 사고로 발생되는 유독 유출수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초기 우수를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질오염 방지시설이다.

완충저류시설은 1991년 구미 페놀 유출과 2008년 김천공업지역 페놀 유출로 낙동강 취수가 중단되는 수질오염 사고가 발생하면서 낙동강 수계에 한해 설치·운영했지만 2015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돼 전국 수계로 설치 의무가 확대됐다.

면적 150만㎡ 이상, 특정 수질 위험물질이 포함된 폐수 배출량 하루 200t 이상, 폐수 배출량 하루 5000t 이상, 연간 유해화학물질 1000t 이상 배출 등 조건 가운데 한 가지만 충족해도 사업 대상에 해당된다. 울산 산업단지는 대부분 이에 해당하지만, 현실적으로 시설 구축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시는 2016년부터 완충저류시설의 설치·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산업단지 면적, 특정수질 유해물질 포함 폐수 배출량, 유해화학물질 연간 제조·보관·저장·사용량 등을 검토했으며, 설치 대상 산업단지를 선정했다.

시는 관내 산업단지에 완충저류시설 15개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시설은 1개에 불과하며, 4개만 공사 또는 설계 중이다. 나머지 10개 시설은 사업조차 시작되지 않은 상태다.

이는 막대한 비용 때문이다. 완충저류시설 1개를 설치하는 데에 약 300억~400억원이 필요하다. 15개 시설을 모두 구축하려면 총 631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울산시가 부담해야 할 예산만 1893억원에 달해 재원 마련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시는 국비 확보를 위해 정부에 적극적으로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2026년 국가 예산에 울산미포국가산단 제3분구 완충저류시설 사업비 100억원을 반영하도록 건의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 석유화학공단은 조성된 지 50년이 넘은 노후 산단으로, 불산·황산·염산 등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다수 밀집해 있다”며 “유해물질이 누출될 경우 이를 차단할 완충저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예산을 최대한 확보해 수질오염 예방과 안전한 도시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