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 울산 간담회, 통합아동수당·다자녀 기업 특채 제안
2025-02-21 석현주 기자
정부는 울산시 차원의 일·가정 양립제도 정착을 주문하면서 2027년까지 상생형 어린이집을 1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20일 울산시청에서 ‘저출생, 울산시민의 소리를 듣다’ 간담회를 개최하고, 김두겸 울산시장과 함께 기업체 근로자·다자녀가정·다문화가족·돌봄기관 관계자 등 다양한 정책 수요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 앞서 주 부위원장은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의 대표 모범 사례로 꼽히는 HD현대해피보트어린이집을 방문했다. 해피보트어린이집은 HD현대중공업직장어린이집으로 오는 3월부터 HD현대 그룹사 사내 협력사 344곳 직원 자녀에게도 개방된다.
주 부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조선·석유화학·자동차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도시 울산에서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자녀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울산시 차원에서도 일·가정 양립제도의 정착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해피보트와 같은 상생형 어린이집을 2027년까지 100개로 확대해 일·가정 양립이 기업 내부뿐 아니라 대·중소기업 간에도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지역 맞춤형 저출생 대응 정책을 중심으로 한 ‘저출생 극복, 울산 인구 UP’을 발표했다.
시는 △2세 이하 영아를 돌보는 조부모에게 월 30만원을 지급하는 조부모 돌봄수당 △임산부나 12개월 이하 영아를 동반할 경우 월 3만원의 택시바우처를 지원하는 임산부 택시 이용 비용 지원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7~12세 어린이들이 문화예술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10만원권 선불카드인 아이문화 패스카드 △365일 24시간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울산시립아이돌봄센터 개소 등도 소개했다.
주 부위원장은 “정부 정책의 틈새를 메우는 울산 특화 사업이 매우 인상적”이라며 “지역의 실정에 맞는 우수 사례들이 다른 지자체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시는 저출생 대응을 위한 신규 정책으로 ‘아이통합수당 지급’ ‘결혼·다자녀 기업 특별채용 도입’을 제안했다.
‘통합아동수당 지급’은 자녀 1명당 매월 통합수당을 지급하는 제도로, 기존의 개별 지원을 통합해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말한다.
‘결혼·다자녀 기업 특별채용 제도 도입’은 기혼자나 자녀를 둔 구직자에게 취업 시 가산점을 부여해 가족 친화적 기업 문화를 조성하고, 저출생 극복을 위한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는 정책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아이통합수당은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지만, 예산의 큰 증감 없이 실질적인 체감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업특별채용 제도는 결혼과 출산이 단순한 개인의 선택을 넘어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가치라는 점을 반영했다”면서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시장은 “현재 추진 중인 정책과 제안된 정책들이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업, 유관기관, 그리고 담당 공무원들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면서 “이번 논의가 울산의 저출생 정책에 밑거름이 되고 전국적으로도 좋은 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울산을 포함해 전국 17개 시·도를 돌며 간담회를 열고, 지역 밀착형 저출생 대응 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