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장밋빛 꿈인가 양날의 검인가
지방 대학이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기사가 연일 쏟아진다. 물가는 무서울 게 없는 것처럼 치솟는데, 학령인구는 무서울 만큼 쪼그라드는 탓이다. 가뜩이나 수도권 대학과 비교해 재정 여건이 좋지 못한 지방 대학은 벼랑 끝에 서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부에서 원하는 만큼 예산을 ‘턱턱’ 내어주거나, 필요한 만큼 가져올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예산은 한정돼 있고, 이를 나눠먹으려는 대학은 무수하다.
이렇다 보니 국책 사업 한 개만 선정돼도 지방에서는 축제 분위기다. 지방에서 대학만 밥을 굶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대학도 앉은 자리에서 우는 소리만 낼 수는 없다. 옛말에 ‘우는 아이 떡 한 개 더 준다’고 하지만, 각박한 현대사회에서 대책 없이 울기만 하면 사랑받을 수 없는 노릇이다.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눈을 돌렸다. 자구책을 마련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교육 수요자가 감소하는 상황을 타개할 계획이었다.
정부도 적극 지원하고 나섰다. UNIST,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등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열을 올렸다. 그 결과 지역 내 외국인 유학생은 UNIST 280여 명, 울산대 140여 명, 울산과학대 410여 명 등 약 830명에 달한다.
외국인 유학생이 대거 유입되면서 한숨 돌리는 듯 했지만, 한쪽에서는 부정적인 목소리가 나왔다. 일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 관리를 허술하게 한 탓에 각종 사건 사고를 일으킨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실제 2016년 지역 중국인 유학생들과 연계해 불법 외환거래를 한 중국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고, 2019년 UNIST 컴퓨터실에서 가상화폐를 채굴한 외국인 유학생이 검거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울산대 안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연쇄 방화를 저지른 끝에 구속되기도 했다.
대학의 고민은 깊어진다.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걸음마를 막 뗀 아이의 부모처럼 외국인 유학생 관리에 한시라도 눈을 뗄 수도 없다.
이 가운데 UNIST·울산대·울산과학대가 정부의 교육국제화 역량 인증을 받았다는 소식이 들린다. 외국인 유학생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진다는 평가다. 900명에 이르는 유학생이 지역에 잘 정착하고, 주민과 어울릴 수 있는 문화 조성에 정부와 지역 사회가 더 힘써야 할 때다.
이다예 사회문화부 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