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똑똑한 도시’ 늘린다

2025-03-17     주하연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도시’ 확산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17일부터 인공지능 등 스마트 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이 협력하는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확산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는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스마트도시 설루션 확산사업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이를 추진할 지자체를 공모한다.

우선 ‘거점형 스마트도시’는 스마트도시가 전국에 확산될 수 있도록 스마트 거점 기능을 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 종합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관련 혁신적인 도시서비스 발굴·실증을 지원한다. 올해는 스마트 거점 역할이 가능한 특·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 중에서 1곳을 선정한다. 선정된 지방자치단체에는 3년간 국비 최대 160억원을 지원한다.

또 올해 처음 공모에 들어가는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 역시 특·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 중에서 1곳을 지정한다. 혁신기술 연구·개발 기반을 이미 갖춘 지역에서 규제완화, 혁신기술 실증공간 제공, 도시데이터 활용 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스마트도시서비스 실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3년간 최대 80억원이 지원된다.

‘강소형 스마트도시’는 인구 100만명 이하 도시를 대상으로 중·소도시가 도시환경 변화 대응력을 확보해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1곳을 선정해 3년간 최대 80억원의 국비를 지자체에 지원한다.

‘스마트도시 설루션 확산사업’은 인구 30만명 미만의 도시를 대상으로 5곳을 선정해, 선정된 지자체에 3년간 최대 12억원의 국비로 보급 설루션과 함께 선행 지자체의 코칭,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지원한다.

‘스마트도시 설루션 확산사업’은 다음 달 14일부터 16일까지 접수한다. 이후 평가위원회 평가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 등 나머지 사업은 오는 5월19일부터 21일까지 접수해 6월 중 최종 선정될 예정이다. 서정혜기자·주하연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