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남구 옥동 학원가 자율금연구역 무색
2025-03-19 정혜윤 기자
18일 찾은 남구 옥동 일원. 200개가 넘는 학원이 밀집돼 있는 옥동은 ‘울산 최대 학원가’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대로변 곳곳에 위치한 학원이나 교습소를 지나 뒤편 음식점이 모여 있는 골목으로 들어가자 아스팔트 바닥에 ‘자율금연구역 시작점’이라는 노란색 표시가 보였다. 그러나 페인트칠이 벗겨지고 바랜 상태인데다 ‘No Smonking’이라는 글씨는 희미하게 남아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자율금연구역 표시가 무색하게 거리 곳곳에서 흡연하는 시민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골목이나 모퉁이 바닥에는 담배꽁초가 수두룩했다. 일부 시민들은 일대 골목이 자율금연구역인 것을 모르거나, 자율인데 꼭 따라야 하나며 실효성에 의문을 표하기도 했다.
옥동 학원가는 지난 2023년 울산 최초 자율금연구역으로 지정됐다. 문수로 372과 법대로 95 일원 총 301m 구간이 자율금연구역에 해당된다. 과태료 부과 등 법적 강제성이 있는 금연구역과 달리, 흡연자가 스스로 금연하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홍보·지도하도록 지자체가 관리하는 구역이다.
남구는 청소년 간접흡연 피해를 막기 위해 해당 구역을 자율금연구역으로 지정했지만, 시행 3년 차에도 흡연이 만연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어 지역 학부모 등 일각에서는 일대를 ‘금연 구역’으로 지정해달라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남구를 포함한 일부 지자체의 ‘금연구역의 지정 및 운영 조례’에 따르면 청소년 밀집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강남 대치동 학원거리 등도 금연거리로 지정돼 흡연 적발시 1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옥동은 학원가와 함께 법조타운, 술집, 상가가 밀집돼 있는 특성 상 남구도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금연 구역 지정 시 단속으로 인해 일대 상가 매출에 타격이 가는 등 반발도 예상되기 때문이다.
남구 관계자는 “자율금연구역은 흡연 민원 다발 지역이지만 금연구역으로 지정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하고 있는데, 사실상 흡연자들의 자발적 협조에 의존해야 한다”며 “다만 자율금연구역으로 지정해 두면 민원이 들어와 계도에 나갔을 때, 현장에서 ‘자율금연구역인만큼 협조 부탁드린다’는 안내를 할 수 있어 일부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홍보 강화 및 추가 설문조사를 통한 자율금연구역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일대 금연 분위기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