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한국당 ‘합당-개별정당’ 진로 고민 거듭

통합당 지도부 공백 이유로
합당 시점 등 언급 자제
1석 더해 ‘교섭단체’ 분석도
원유철 대표 “합당은 당연”

2020-04-21     김두수 기자
원내 제1야당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정당인 미래한국당이 4·15 총선이 끝난 지 엿새가 지난 21일에도 통합당과 합당할지를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당초 미래한국당은 창당 당시 통합당과의 형제·자매 정당임을 분명히 하면서 21대 총선 후 합당 방침을 수차례 밝혔다.

그러나 막상 총선이 끝나자 합당 시점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합당을 차일피일 미루는 모양새로, 일단 합당을 미루고 원내 교섭단체를 노린 개별 정당으로 활동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합당 논의 창구인 통합당 지도부가 공백 상태인 점을 거론하지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추천위원 추천권, 교섭단체 국고보조금, 21대 원구성 협상 시 상임위원장 배분 등을 염두에 둔 포석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미래한국당이 이번 총선에서 얻은 의석은 19석으로,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20석에서 단 한 석만 모자란다. 만일 통합당에서 ‘의원 꿔오기’가 가능하다면 교섭단체를 만들어 21대 국회에서 야권 목소리를 더 키울 수 있다.

미래한국당 고위 관계자는 이날 “일단 총선에 패배한 통합당의 수습 이후 합당 협의를 할 것이다. 거대 여당 출현을 놓고 야당의 역할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 깊이 논의하겠다”고 했다.

미래한국당이 20석을 채워 교섭단체를 구성하면 21대 국회 출범 직후 최대 쟁점이 될 공수처장 추천에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원회는 모두 7명으로 구성되는데, 미래한국당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1명의 위원을 추천할 수 있다. 통합당과 함께 총 2명의 추천위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 교섭단체 위주로 분배되는 정당 국고보조금과 함께 ‘국회의원의 꽃’인 상임위원장도 맡을 수 있다. 통합당과 합당했을 때보다 국고보조금과 상임위원장의 규모를 키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한국당은 정치권 안팎의 이 같은 분석에 대해 선을 긋고 있다.

원유철 대표는 이날 “합당 시점을 특정하지 않았지만 총선 후 통합당과 합당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미래한국당은 공수처 때문에 만든 당도 아니고 선거보조금도 지엽적인 문제로 관심 없다”고 했다.

그러나 총선 과정에서 위성정당을 만든 거대 양당 모두 ‘꼼수’라고 비판받아온 만큼 여론의 비판을 감수하고 위성교섭단체까지 구성하기엔 통합당과 미래한국당에도 부담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0일 더불어시민당과의 합당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위성교섭단체 구성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내에서도 미래한국당의 교섭단체 구성에 부정적인 기류가 구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