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중기 사업전환 승인 비율 전국 최하위
울산 중소기업이 전국에서 사업전환 승인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로 나타났다. 여전히 중소기업체의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울산도 산업 유연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3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의 ‘2024년 사업전환 승인 및 융자 지원 실적’에 따르면, 울산의 사업전환 승인 기업 수는 104개로 전체의 2.8% 수준에 그쳤다. 이는 세종(9곳), 제주(30곳), 대전(96곳)에 이어 가장 낮았다. 자본·첨단 등이 집약된 서울(499곳, 14.4%), 경기(821곳, 24%)와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사업전환 자금 지원을 받은 기업도 18개에 불과해, 기업 수 대비 실질적인 전환 성과도 미미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는 울산이 여전히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제조업에 높은 산업 의존도를 보이고 있으며, 산업 구조 전환이 쉽지 않다는 점을 방증한다.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SK에너지 등 대기업 중심의 산업 생태계는 울산 경제의 기반이자 강점이지만, 동시에 지역 내 중소기업들이 대기업 협력업체로 얽매이면서 자율적인 업종 전환이나 신산업 진출에 제약을 받는 구조로 작용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새로운 산업으로 진출하는 데 필요한 설비 교체, 기술 전환, 인력 재교육 등에 따른 부담이 크고, 기존 거래처 이탈 위험까지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전환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울산의 종사자 수 10~99인 규모 기업은 2020년 4667개에서 2022년 4890개로 소폭 증가했지만, 대기업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체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수도권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낮고 변화 속도도 느린 편이다. 그 사이 울산의 사업전환 승인 기업 수는 크게 늘지 않아, 기업 수 변화 대비 산업 전환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반면, 서울과 경기 등은 사업체 수의 증감과 무관하게 전기차, AI, 바이오 등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한 사업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중진공의 자금지원 실적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단순한 구조 차이를 넘어 정책 수용성, 시장 유연성, 기업의 대응 속도 등 지역 산업 역량의 차이로 분석될 수 있다.
이에 전기차 전환, 수소경제, 친환경 선박 등 산업 구조의 대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은 기존 제조업의 강점을 기반으로 하되, 중소기업의 전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 지원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역 산업계 관계자는 “울산은 제조업 기반이 탄탄하지만, 지금처럼 대기업 협력 구조에만 의존하면 산업 구조가 경직될 수밖에 없다”며 “산업 다각화와 중소기업의 자율적 전환을 돕는 맞춤형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