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인구 2052년 82만명…광역시 소멸 위기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 규모는 오는 2052년 82만7000명 수준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예측됐다. 울산의 인구가 올해 처음 110만명선 이하로 떨어지고 2035년 100만9000명, 2040년에는 96만명, 2050년에는 85만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다. ‘광역시’ 울산의 인구가 1990년대 초 기초시 수준으로 되돌아갈 시간이 27년도 채 남지 않은 셈이다.
울산의 인구 감소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주력산업의 성장력 둔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 청년층의 수도권과 인근 도시 이탈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20~30 세대 청년 인구 감소는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 울산의 장래를 어둡게 한다.
사회지표에서 나타난 울산 인구구조의 두드러진 변화는 ‘외국인의 귀환’이다. 법무부 통계 기준(2023년) 울산 지역 장기체류 외국인 수는 3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조선업 활황세를 보였던 2025년(3만2477명) 이후 최대 규모다.
20023년 울산의 주민등록 외국인 수는 2019년 이후 4년만에 다시 2만명대(2만3620명)로 올라섰다. 조선업 호황에 외국인 노동자들의 유입이 늘면서 울산의 인구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지표 자료에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변화는 울산이 전국에서 안전한 도시로 기록됐다는 점이다. 울산의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1709건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 2년 연속 범죄발생 1000건 대를 기록한 곳은 울산이 유일하다. 안정적인 일자리 등 경제적 안정성이 도시의 범죄율을 낮추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환경 문제라는 묵직한 과제도 제시됐다. 울산 시민들의 대기질 만족도(34.3%)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았다. 환경 문제는 시민들의 삶의 질은 물론 관광 등 서비스 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사회지표 결과는 출산율 제고, 청년층 유출 방지와 정주 여건 개선, 외국인 노동자 정착 지원, 친환경 산업 전환, 서비스업 육성, 녹지 공간 확충 등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울산시와 구군은 이번 사회지표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인구 감소와 산업 구조 변화, 환경 문제 등 여러 도전에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