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다발구간 개선사업 효과 톡톡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상 구간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59.5%, 사고 건수는 31.2% 감소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지난 2022년 지자체 등 도로관리기관과 함께 개선 사업을 완료한 전국 241개 대상지의 개선 전 3년 평균(2019~2021년)과 개선 후 1년간(2023년)의 교통사고 현황을 비교·분석했다.
개선 사업 이전 3년간 연평균 교통사고 사망자는 24.7명이었지만 개선 후인 2023년에는 10명으로 59.5% 감소했다. 교통사고 건수도 2469건에서 1699건으로 31.2% 줄었다.
울산 북구 경제진흥원 삼거리의 경우 정지선 주변에 미끄럼 방지포장으로 노면 마찰력을 높이고 교통섬과 고원식 횡단보도를 설치해 우회전 효율 및 보행자 편의를 향상시켰다. 이런 식으로 개선 사업을 마치자 교통사고 건수는 11.3건에서 6건으로 47%나 감소했다.
한편 한국도로교통공단은 행정안전부, 지자체 등과 함께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을 매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전국 1만6944곳을 개선했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교통사고 잦은 곳에 대한 주요 개선 대책으로 △교차로 전방 신호기 설치 △미끄럼 방지포장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노면색깔유도선 설치 등 단기간 시행으로 높은 사업 효과가 나타나는 시설물들을 포함했다.
오윤성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장은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 대해서는 철저한 원인 분석 후 맞춤형 개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 사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