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탑 주변 벌목범위 2~3배 늘려야”
2025-04-01 신동섭 기자
31일 김두겸 울산시장과 임상섭 산림청장, 이순걸 울주군수 등 관계자 30여 명은 지난 22일부터 엿새 동안 1000㏊에 가까운 산림과 주택, 사찰 등을 집어삼킨 울산 온양·언양 산불 피해 현장을 찾아 현황을 점검했다.
현장을 둘러보던 김두겸 울산시장은 “정부와 협업해 신속히 피해 조사를 하겠다. 단기적으로는 피해자 생계 지원에 힘쓰고, 장기적으로 산불 헬기 구입과 임도 개설, 송전탑 하부 임목 제거 등을 통해 산불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우선 임도 개설에 대해 “주불 진화는 헬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헬기 외에 인력을 투입해 불을 끄기 위해서는 임도 개설이 절실하다”며 “임도가 없으면 산불 진화 자체가 어렵다. 임도가 설치되면 방어선과 대피선의 역할을 맡고, 진화의 효율성도 획기적으로 높아진다. 모든 산에 임도를 설치하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하고,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헬기 도입에 대해서 김 시장은 “울산은 산단 근처에서 산불이 발생하게 될 경우 대재앙이 벌어질 수 있다. 울산시에서도 자체 헬기를 1대 도입하기로 했지만, 산림청에서 더 많은 헬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시장은 이번 산불 진화에 투입된 헬기 조종사들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은 송전탑 관련 규제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시장은 지금은 송전탑 아래 좌우 10m 범위에서 벌목하고 있지만 송전탑 보호와 효율적인 진화를 위해 벌목 범위를 20~30m로 넓혀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설령 환경단체의 반발이 있더라도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시장은 “이번 온양읍 산불이 삼광리로 번지는 과정에서 송전탑에 불이 붙어 일부 지역에서 단전되는 피해가 생겼다”며 “‘송전탑 주변 일정 반경 내는 나무 제거’ 등 관련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국비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는 잔불 진화와 함께 산불 지역 구호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울주군도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온양읍과 언양읍 지역의 복구와 재발 방지를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과 대책 수립에 나선다.
한편, 산림청은 31일 울산, 경북,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전례 없는 동시다발 대형산불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긴급 파견한다고 밝혔다. 진단팀은 산불로 인한 산사태 발생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긴급 진단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산불피해지 복구 계획을 수립해 조속한 복구에 나설 방침이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