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트럼프발 관세폭탄, 수출로 먹고 사는 울산 산업 시험대

2025-04-10     경상일보

한국 경제에 미국의 트럼프발 ‘관세폭탄’이 투하됐다. 9일부터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25%가 발효돼 자동차, 철강 등 주력 산업이 직접적인 관세 영향권에 들어갔다. 여기에 더해 최대 교역국인 중국도 대미 보복 관세를 예고해 우리 경제는 더욱 심각하고 복합적인 위기에 처하게 됐다. 수출과 생산, 고용 등 경제 전반이 위축돼 0%대 경제 성장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대외 무역 환경이 악화하면 무역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도시 울산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 지난해 울산의 대미 수출은 234억 달러로, 지역 총 수출액의 26.6%가 미국향 수출물량이다. 이는 대 중국 수출 물량보다 3배나 많은 규모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 투하로, 울산 경제는 출구 없는 ‘무역 절벽’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울산의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150억 달러로,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의 43.2%를 책임졌다. 자동차 부품(9억달러)은 전체 부품 수출의 11%를 담당했다. 조선과 석유화학이 흔들릴 때도 지역의 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 역할을 한 게 자동차산업이다.

이런 상황에서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울산 자동차 업계는 자동차(부품 포함)에서만 약 40억달러(5조9000억원)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기존에 부담하던 관세 외에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이는 자동차 업계의 수익성 악화와 고용 불안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세계 최대’의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당장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중요한 전략 시장인 대미 수출 경쟁력을 잃으면 공장 가동률이 떨어진다. 지난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25% 관세 부과시 “울산의 5개 공장 중 한두 개 공장은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최악의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날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린 자동차·부품 업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 대책’을 발표했다. 2조원 규모의 긴급 정책 금융을 추가로 공급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도 확대한다. 자동차 산업의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와 울산시, 기업은 서로 협심해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데 사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