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부울경 초광역 사업 대선 공약화, 지역발전 핵심 동력으로
부산·울산·경남 경제동맹이 초광역 발전을 위한 공동협력사업을 6·3일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화하기로 했다. 2023년 ‘초광역 경제동맹’을 결성한 이후 교통망과 산업 육성 기반을 함께 구축해 왔지만, 지역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6·3 대선 공약화에 성공하면 국가 차원의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을 이끌어낼 수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출범 2주년을 맞은 14일 부산시청에서 제3회 부울경 정책 협의회를 열고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부울경은 이날 대통령과 국회의 역할 분담을 새롭게 하고 중앙과 지방 정부 권한을 배분하는 ‘이중분권’ 개헌을 촉구했다.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권한 배분을 명확히 하고, 지방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은 지역 균형 발전의 핵심 과제임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3개 시도는 또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울산-가덕도 신공항 간 광역철도, 울산-창원-진주 철도 인프라 공동 운용 등 21개 공동 협력 사업을 대선 공약 및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초광역권 경제를 선도해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부울경 초광역 프로젝트는 단순히 지역 경제 활성화를 넘어,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여야 주요 대선 주자들이 지방 분권과 균형 발전 실현의 해법으로 제시한 권역별 ‘메가시티’ 전략과 맞닿아 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지방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는 상생 발전 전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부울경은 전국에서 인구 순유출이 가장 심각해 지역 소멸의 시계가 빨라지고 있는 지역이다. 여야 정치권과 차기 정부는 부울경 초광역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울산 지역의 대선 공약 사업 대부분이 추진 동력을 잃고 줄줄이 좌초 위기에 처해 있다, 울산의료원, 국립산업박물관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SOC)과 경제, 사회, 문화 관련 공약 사업이 차질을 빚으며 미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차제에 울산시는 미래 명운이 걸린 지역 발전 사업을 신속히 발굴해, 이를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당선인은 인수위원회 없이 곧바로 임기를 시작하는 만큼, 시간이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