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운전면허 적성검사 기간 확인하기

2025-04-21     경상일보

최근 주간 근무 퇴근 시간이 다 될 무렵 교통사고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 다행히 보험가입 여부와 상관 없이 민사상 책임 외에 형사상 책임을 지게 되는 12대 중과실 교통사고도 아니고, 인명 피해도 없는 단순한 물적 피해 교통 사고였다. 보험회사에서도 연락을 받고 현장에 도착해 처리를 하려고 했다.

사고 당사자들의 면허증을 확인하고 돌아가려고 하는데 조회상 특이한 문구가 현출됐다. 당사자 중 한 명이 이달 1일부터 조건부(면허)취소 결정이 된다는 내용이었다.

나도 처음 보는 생소한 단어였다. 이에 사고 당사자에게 무엇 때문에 1일부터 면허가 취소되는지 물어봤다. 하지만 본인도 이날 교통사고 전까지 아무 문제 없이 운전을 했고, 벌점도 없었는데 무엇 때문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 때 문득 면허 적성검사 기간이 생각나서 재차 사고 당사자의 면허증을 확인했다. 역시나 적성검사 만료일이 임박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행히 교통사고 당일에는 아직 면허가 취소되지 않는 상태여서 교통사고는 보험처리로 했고, 사고 당사자에게는 과태료 3만원을 내고 빨리 운전면허시험장으로 가서 적성검사를 받으라고 안내했다.

이틀이 지나 사고가 났더라면 당사자는 면허취소가 돼 12대 중과실 중 무면허 운전에 해당, 교통사고 처리를 할 수밖에 없는 아슬하고 아찔한 순간이 아닐 수 없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는 운전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해 안전 운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로, 나이 건강 상태에 따라 운전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기간은 면허증 갱신 기간과 동일하며 만료일 전에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면허가 유효하다. 기간 내 검사를 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며 적성검사 기간 만료 후에도 1년 이내에 검사를 받으면 과태료를 납부하고 면허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적성검사 기간 1년이 지나면 면허가 자동 취소되며, 다시 운전면허를 취득하려면 새롭게 시험을 봐야한다.

내 면허증 적성검사 유효기간이 언제인지 꼭 한번 확인해 보길 바란다. 스마트폰 캘린더에 면허증 유효기간을 알림 설정하거나 메모장에 적어두는 것도 좋다. 특히 건강검진때 적성검사도 받으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니 건강검진과 연계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또한 운전면허 시험장 홈페이지에서 적성검사 예약을 미리 할 수 있으며, 예약 후에는 문자 알림도 받을 수 있어 많이 활용했으면 한다.

필자도 해당 교통사고 처리 후 본인의 면허증을 확인해봤다. 적성검사 기간이 2025년 1월1일부터 2025년 12월31일까지로 나와있었다.

올해 1월에 미리 미리 준비해서 운전면허 적성검사를 마칠 생각이다.

지철환 울산동부경찰서 전하지구대 경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