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홈플러스·MBK ‘단기채 발행’ 진실 공방

2025-04-25     오상민 기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 신청 전 신용등급 하락과 자금 조달 차질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대규모 단기채를 발행했다며 형사책임 가능성을 제기한 가운데 MBK 측은 “사전 인지나 회생 준비는 없었고, 단기채 발행에도 관여한 바 없다”고 정면 반박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24일 기자간담회에서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전 인지 및 회생 신청 준비 정황에 대한 구체적 증거를 확보했다”며 “사기적 부정거래 적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자들을 검찰에 패스트트랙 형식으로 통보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원장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후에도 6000억원 규모의 단기채권(ABSTB)을 발행해 개인투자자 등에게 손실을 전가했을 경우 동양·LIG 사태처럼 형사 책임이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와 MBK는 이날 공동 입장문을 내고 “2월25일 신용등급 하락 예정 통보를 받고 즉시 이의신청과 유동성 개선책을 제출했으며, 회생 신청은 그 이후 유동성 위기 대응 차원에서 결정된 사후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어 “ABSTB는 신영증권이 설립한 SPC가 카드채권을 기반으로 발행한 상품으로, 홈플러스와 MBK는 발행이나 판매 등 일련의 과정에 전혀 관여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금감원은 MBK가 회생 신청 이후 책임 있는 자구책은 외면한 채 납품업체·임대인 등에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이에 대해 MBK는 “홈플러스의 부도를 막기 위한 선제적 결정이었다”며 “김병주 회장이 사재 출연 의사도 밝혔다”고 반박했다.

한편 울산에서는 홈플러스 사태에 따른 노동자·입점업체 피해를 우려한 지역 시민사회와 노동계가 이날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울산 공동대책위원회’를 발족했다.

대책위는 “MBK의 차입매수 방식은 기업을 빚더미에 앉히고 수익만 챙기려는 먹튀 행태”라며 “노동자·입점업체 등 10만여 생계 주체의 생존권을 벼랑 끝으로 몰았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향후 전국적인 서명운동과 함께 오는 5월1일 서울 광화문에서 대규모 국민대회를 개최해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MBK에 대한 법적·사회적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