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늙어가는 울산 고용시장…재취업 대책 시급하다
고령화 심화와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인한 비자발적 실업 증가가 맞물리면서, 울산 지역의 실업급여 신청자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특히 주력 산업의 성장 둔화와 맞물려 산업 현장이 고령화되면서 50대 이상 실업급여 신청 비중이 급증하는 ‘50대 고용 쓰나미’가 현실화되고 있다. 벼랑 끝에 선 50대 장년층과 은퇴자들을 위한 맞춤형 재취업 지원 정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의 통계 자료를 보면 울산 지역의 심각한 실업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4년 말 기준 울산의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자는 3만3000명 선에 바짝 다가섰다. 올해 1~2월 두 달 동안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자 수가 1만여 명에 육박했다. 연초에 신청자가 몰리는 경향을 감안하더라도 이례적인 수치로,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시민들이 늘고 있음을 방증한다.
실업급여 지급액 역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울산 지역 실업급여 지급액은 3300억여 원에 달했다. 이는 단순히 실업자 수 증가를 넘어, 실업 기간 또한 길어지면서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생산가능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다.
울산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는 연일 실업의 고통을 호소하는 시민들의 발길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50대 후반의 한 남성은 “정년퇴직 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재취업이 안 돼 생활고를 이기지 못해 실업급여를 신청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이는 고령화 사회의 냉혹한 현실과 재취업 시장의 연령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 등 불안정한 울산 고용 시장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울산의 고용률은 59.3%로 전국 평균(62.5%)에 크게 못 미쳤다. 고용률이 60%를 밑돈 곳은 울산을 포함해 3곳뿐이다. 광공업을 포함한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추세가 지속됐다.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고용 시장의 부진이 실업급여 신청자 증가에 한몫하고 있는 셈이다.
수출 주도형 울산 경제는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25%)에 더해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되면 원자재와 부품 등 공급망 수급에 비상이 걸리고 주력 산업의 수출 전반에 빨간불이 켜진다. 최악의 경우 울산의 제1~2 수출 시장 ‘리스크’가 동시에 터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우선 50대 이상 장년층과 은퇴자들을 위한 맞춤형 재취업 지원 정책과 더불어 지역 경제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이차전지 수소 등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