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울산 산업생산·건설투자 반등…소비는 부진
2025-05-01 오상민 기자
30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울산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울산의 광공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한 109.5를 기록했다.
주요 품목 중 전기장비는 28.9%, 기타 운송장비는 15.9% 증가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자동차는 -5.4%, 기계장비는 -13.5% 줄며 주력 산업의 약화가 계속되고 있다.
생산과 함께 출하지수는 전기장비(36.6%), 기타 운송장비(19.0%)가 호조를 보였지만, 석유정제(-8.3%), 자동차(-6.6%) 등에서 출하가 줄면서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 이는 일부 업종 내 해외 수요 둔화 및 내수 정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제조업 재고지수는 88.8로, 전년 동월 대비 8.2% 감소했다. 1차금속(17.6%), 나무제품(19.6%) 등의 재고는 증가한 반면, 석유정제(-16.9%), 자동차(-13.0%), 기계장비(-47.3%) 등에서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동차와 기계장비 부문의 재고 감소는 생산 축소 및 재고조정 차원으로 풀이된다.
반면 소비는 여전히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울산의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95.1로 전년 동월보다 3.8% 줄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모두 각각 4.1%, 3.8%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가전제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품군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특히 오락·취미·경기용품, 의복, 신발·가방, 음식료품 등 일상 소비재 전반에서 위축이 뚜렷했다. 이는 체감경기 악화와 실질소득 정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경기는 비교적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3월 울산의 건설수주액은 총 6012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7% 증가했다. 공공부문은 공기업 발주 확대 영향으로 48.1% 늘었고, 민간부문도 부동산 개발 중심으로 20.0% 증가했다. 특히 건축부문은 신규주택 수주 확대에 힘입어 50.7% 급증했다. 반면 토목부문은 기계설비 수주 감소로 67.1% 급감해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