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김상욱 국힘 탈당…곧장 민주당행은 쉽지 않을듯

2025-05-09     김두수 기자
6·3 대선을 불과 20여일 앞두고 울산 정치지형이 급재편 되면서 향후 대선가도와 함께 차기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지 주목된다.

지역 정치지형 재편은 탄핵정국에서 국민의힘 논란의 중심부에 있던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이 8일 공식 탈당을 선언하면서다. 이에 따라 21대 총선에서 4석(김기현·박성민·서범수·김상욱)을 차지했던 국민의힘은 3석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2석이었던 진보진영(더불어민주당·진보당)은 무소속으로 전환된 김 의원이 사실상 진보쪽으로 말을 바꿔탈 가능성이 높아 3석으로 늘어난 셈이다.

김상욱 의원은 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을 탈당한다”고 선언하며 “앞으로 극우 보수와 수구 보수가 아닌 참 민주 보수의 길을 걷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의 탈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에 이어 탄핵정국에서 국민의힘 지도부와 사사건건 갈등을 겪어오다, 정치적 구실을 만들어 끝내 탈당을 감행한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김 의원은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달 26일부터 30일까지 4박 5일간 몽골을 공식 방문할 당시 더불어민주당 서삼석·고민정 의원과 동행한 시점부터 이상기류가 감지됐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더욱이 우 의장은 국회 운영의 법적·중립적 외형상 무소속이지만 정체성은 민주당 소속이나 다름없기에, 당 원내지도부의 사전 승인조차 없는 김 의원의 동행 자체가 탈당 후 민주당 이적 가능성이 높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러한 김 의원의 행보를 놓고 국민의힘 지도부 내에서 “당인으로서 맞지 않다”는 기류도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 의원은 정치적 휘발성이 강하고 당의 입장과 정면 배치되는 주요 법안에 대한 국회 표결에서도 당내에서 유일하게 민주당 방침에 공개 찬성표를 던지기도 했다.

뿐만 아니다. 당론에 반기를 들며 당 지도부를 공개 비판한 사례도 수차례 있었다. 이 때문에 자신의 지역구인 울산 남구갑 선출직 당원과 책임 당원들로부터 수차례 탈당 압박을 받았다. 김 의원은 그간 ‘갈지자’ 정치적 행보에 대해 헌법정신과 정치소신을 내세웠지만, 총선에서 당의 공천을 받아 원내에 입성한 정당 정치인으로서 최소한의 윤리를 저버린게 아니냐는 비판이 쇄도했던 것도 사실이다.

향후 정치적 관전 포인트는 김 의원이 탈당 후 정치 행로다.

김 의원은 이날 탈당을 선언하면서 “기회가 된다면 이재명·이준석 후보 등 대선 후보님들과 만나 현안 해결과 나라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핵심 인사는 이날 본보 취재진과 통화에서 “김 의원이 탈당을 선언하면서 이재명 후보를 만나고 싶다고 했는데, 현재로선 이 후보와의 면담성사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또 그럴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우리당에 스스로 입당원서를 내고 입당하게 된다면 그때 당 지도부가 판단할 문제일 뿐”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민주당의 다른 핵심 인사는 의미심장한 말도 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서 김 의원이 입당한다 해도 무슨 도움이 될 지 모른다. 특히 울산 지역 정서를 감안할 때 (김 의원 입당 후) 민주당이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는 얘기가 파다하다”고 했다.

민주당 공식 입장은 아니지만, 당내 일각의 이러한 시각을 감안할 때 김 의원의 공식적인 당적 이동은 상당기간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내부에선 “앓던 이가 빠진 것 같아서 속이 시원하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당적 이동이 여의치 않을 경우 김 의원은 ‘무소속 중간지대’ ‘외톨이 정치인’으로 전락하면서 향후 정치적 험로가 예상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