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여천배수지 수질환경 개선 시급
2025-05-09 석현주 기자
울산시가 추진 중인 삼산·여천매립장 생태복원 사업은 AIPH(국제원예생산자협회)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구역이다.
정원박람회 장소 가운데 쓰레기매립장을 정원으로 전환했던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만큼 시는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8일 울산시가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협의한 내년도 주요 신규사업 가운데 ‘울산 삼산여천배수구역 비점오염저감사업’이 포함됐다.
삼산·여천매립장은 1981년부터 1994년까지 울산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했던 공간으로, 2003년 사용 종료 이후 안정화 단계와 사후관리를 거쳤다. 지금은 잡초만 무성할 뿐 식생이 제대로 자라지 않는 황폐한 공간이다. 산책로가 일부 조성됐지만 인적이 드물고, 매립장 일대 환경은 사실상 정원박람회 개최지로 보기 어려운 수준이다.
시는 해당 부지를 생태정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울산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을 기획했고, 환경부 공모에 선정돼 국비 70억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을 통해 돋질산 일원에 생태숲, 습지, 탐방로 등을 조성하고, 태화강과 국가정원을 잇는 생태축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문제는 정원의 기반이 될 환경조건이다. 삼산·여천매립장 인근 여천배수지는 태화강과 여천천이 만나는 접점으로, 유기물과 오염물질이 집중된다. 생태복원을 위해서는 이곳의 수질부터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다.
시는 이를 위해 ‘여천배수구역 비점오염저감사업’을 준비 중이다. 여천배수펌프장에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유수지 8만㎡를 준설하는 등 물리적 정화작업을 통해 수질을 대폭 개선하는 사업이다. 필요한 총 예산은 118억원이며, 이 가운데 국비 59억원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국회 예산 증액 과정에서는 최종 반영되지 못했다. 시는 실시설계비 2억6000만원을 국회 증액사업으로 올렸지만,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와 야당의 감액 처리로 무산됐다. 환경부도 사업 타당성에는 공감했지만 예산 지원은 보류했다.
이에 시는 내년도 국가예산 주요 사업에 이를 포함시켜 재도전한다. 대규모 국제행사인 박람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해당 사업의 조속한 착수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시는 국제정원박람회 준비를 위해 여러 부처와 국회를 상대로 예산 확보에 전방위적인 노력을 펼쳐왔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해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을 설득했으며 “울산의 마지막 환경오염지인 삼산·여천 매립장을 반드시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밝히기도 했다.
특히 국제행사의 승인권을 가진 AIPH가 이 구역에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어 생태복원에 실패할 경우 국제 신뢰 저하와 개최 계획 차질이라는 이중 부담이 뒤따른다.
시는 박람회장 주변 기반 조성도 병행해서 추진 중이다. 삼산·여천매립장 지반 안정화(54억원), 박람회장 연계 도시숲 조성(225억원), 돋질산 생태복원 및 수변공원화(100억원) 등은 정원박람회의 품격을 높이는 핵심 사업으로 추진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원박람회는 울산의 도시브랜드를 획기적으로 바꿀 기회”라며 “비점오염저감사업 등 필수 기반 사업이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국회를 지속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