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수리 어려워…울산 전기 이륜차 활성화 먼일

2025-05-09     김은정 기자
전기자전거(자료이미지)

울산시가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 이륜차 지원 사업을 이어가고 있지만 시민 일상과는 아직 거리감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큰 걸림돌은 업체마다 다른 배터리·부품 규격으로, 충전이나 정비 인프라 구축조차 쉽지 않다는 점이다.

시는 지난 2018년 이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누적 1900대를 보급했고, 올해도 500대 추가 지원을 계획 중이다. 출퇴근 이용자가 많은 동구는 시 보조금 300만원 외에 자체 예산을 추가해 1인당 최대 35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용 인프라 부족 등의 한계로 정작 시민들의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전기 이륜차의 주요 부품 규격이 제조사마다 달라 충전과 수리 등의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로 전기 이륜차는 제조사마다 배터리와 부품 규격이 달라 일반 정비소에서는 수리가 어렵다. 또 각종 기능이 데이터화돼 있어 시스템 점검이나 수리 역시 본사 또는 지정센터를 거쳐야 하는데 울산에는 이 수리가 가능한 센터가 부족하다.

동구에서 전기 이륜차를 운행 중인 A씨는 “고장 나면 일반 정비소에서는 손을 못 대고, 제조사 지정센터까지 가야 한다”며 “울산에는 그런 곳이 거의 없어 정비 한 번 받으려면 먼 길을 가야 한다”고 토로했다.

열악한 충전 인프라도 걸림돌이다. 공용 충전기를 설치하더라도 종류마다 다른 커넥터를 사용해야 해 불편하고, 전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과충전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최근 과충전 걱정이 없는 배터리 교환 방식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울산은 이조차도 타 지자체에 비해 보급 속도가 더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울주군 등 외곽에서 가장 가까운 스테이션인 남구 무거동까지 운행해 오는 이용자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불편 요소가 많은 데다가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 등으로 전기 배터리에 대한 안전성 논란까지 겹치며 수요 확대에도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수요가 적다 보니 업체들도 울산 진출을 꺼리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최근 수요가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인프라 구축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아 기대만큼 빠르지는 않다”며 “업체들과 지속 소통하며 배터리 교환 시설 확대와 함께 이용자 인프라 개선을 위한 방안을 고려해 보겠다”고 말했다.

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