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5월 아파트분양 ‘0’ 지방 주택시장 한파

2025-05-12     오상민 기자
울산지역의 민간 아파트 분양시장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올해 5월까지 울산에서 예정된 민간 분양 물량이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 건설경기 침체가 본격적인 공급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울산을 포함한 광역시 중 광주·세종과 함께 울산은 분양 계획조차 없었던 지역으로 분류됐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새 아파트 공급 계획이 전무한 지역이 매월 10곳을 넘는 가운데, 울산도 지방 주택시장의 ‘한파’를 고스란히 겪고 있는 셈이다.

전국적으로도 중견 건설사들의 1분기 주택 분양 실적은 총 4812가구로, 2009년(3251가구) 이후 1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9075가구)과 비교하면 74.8%, 직전 분기(2만4693가구) 대비로는 80.5% 줄어든 수치다. 계획 대비 실제 분양 물량 비율도 59.9%에 그쳐, 예정된 10가구 중 6가구만 시장에 나간 셈이다.

지방 미분양이 심화된 것도 분양 위축의 직접적인 배경으로 꼽힌다.

3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 6만8920가구 가운데 지방 비중은 76.0%인 5만2392가구에 달했다. 울산도 지난해 말 기준 미분양 물량이 1000가구를 상회한 이후 뚜렷한 해소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방 건설사들이 금융 부담과 미분양 리스크를 우려해 공급을 미루고 있다”며 “특히 울산은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하지 않고, 외부 투자 수요도 약해 공급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반면 서울 등 수도권 대형 브랜드 단지는 여전히 높은 청약 경쟁률을 보이며 ‘똘똘한 한 채’ 선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초 서울 서초구에서 분양한 ‘래미안 원페를라’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15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중견 주택업계는 지방시장 안정화를 위해 미분양 주택 구입자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 같은 수요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건협 관계자는 “지방 미분양 문제 해결 없이는 분양시장 회복이 어렵다”며 “양도세 면제 등 인센티브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오상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