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재병원 운영비 확보해 울산 공공의료 안전망 지켜야
내년 하반기 개원을 앞둔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이 병원 운영에 필수적인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 사회의 간절한 기다림 속에 개원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정작 병원 운영 예산 확보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공 의료 서비스와 산재 근로자들의 치료 및 재활 서비스 제공에 차질이 생길까 염려스럽다.
근로복지공단은 울주군 굴화 공공주택지구에 내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지하 2층, 지상 8층 규모의 국립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 공사를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이 병원은 재활전문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건강검진센터를 갖추고 18개 진료과목을 운영하는 종합병원으로, 지역 사회의 기대가 높다.
그러나 내년도 병원 개원에 필요한 233억 원의 운영비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한다.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 병원 운영비를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탓이다. 이에 울산시와 공단 관계자들이 부랴부랴 기획재정부를 찾아 정부 지원을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울산 산재병원은 전문적인 산재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지역 취약 계층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지역 최초의 공공 종합병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산재 근로자들에게 전문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의 의료 안전망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병원 운영비 부족은 필수 의료 장비 도입과 의료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해 개원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원 후에도 전문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다.
이미 개원해 운영중인 기존 산재병원들이 낮은 의료 수가로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현실을 고려할 때, 울산 산재병원의 미래도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병원의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수익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다. 시와 공단은 병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을 찾아야 한다.
공공의료 병원의 특성상 안정적인 재정 확보는 필수적이다. 그래야 산재 노동자들이 건강하게 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희망을 품을 수 있다. 정부는 울산 산재병원이 정상 개원할 수 있도록 신속한 재정 지원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