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울산 초선 국회의원 당선인 인터뷰]“국민의 삶 속에 들어가 민생·현장 중심 정치 펼칠 것”
(3·끝)울주군 서범수 당선인
원전주변지역 기업과 가정 전기료 감면될 수 있는 법 발의하고
지역발전과 관계된 것이라면 여야 상관없이 소통·협력에 최선
개발제한구역 ‘30만㎡이하→100만㎡이하’로 관련법 개정 힘써
정치를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지난해 1월 공개 오디션에서 관록의 정치인과 청년 정치인을 제치고 미래통합당 울주군 당협위원장 자리를 꿰찼다. 제21대 총선 당내 경선에선 상대후보에게 가산점에서 20점 뒤졌지만 거의 10점 가까이 앞서는 최종 결과를 냈다. 그리고 검·경 대결로 주목받았던 본선에서 거의 10%에 가까운 득표율 차이를 내며 당선됐다. 서병수(부산진구갑) 당선인과 함께 형제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게 된 서범수 당선인은 “저를 선택한 이유가 바로 무너져가는 경제를 살리고 울산발전을 이루라는 시민의 뜻으로 알고 정말 열심히 일하겠다”며 “국민의 삶 속에 들어가서 오로지 민생 중심, 현장 중심의 정치를 하겠다는 초심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공직선거 첫 도전에서 당선됐는데, 소감은.
“큰 바다로 나아가 성장하고 고향에 돌아와 산란하는 연어처럼 저 또한 공직생활 27년을 잘 마치고 남은 인생을 고향을 위해 일 할 수 있게 됐다. 공직생활을 하며 가졌던 생각이 우문현답이다. 우리 문제에는 현장에 답이 있다. 국민의 삶 속에 들어가 오로지 민생 중심, 현장 중심의 정치를 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제1호로 제출할 법안을 생각해둔 게 있는지.
“원전주변지역의 기업과 각 가정 전기료가 감면되도록 법을 발의하겠다. 경주는 방폐장을 유치해 지원금 3000억원과 한수원 본사이전, 1286억원의 양성자 가속기, 방폐물 반입수수료로 연간 85억원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관련법상 반경 5㎞ 이내만 지원할 수 있다보니 실제 원전의 위험을 안고 사는 울산시민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부족하다. 전기소비가 많은 기업 등을 유치하고 일반 가정도 전기료 감면의 혜택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회의원으로서 지역구 관련 국비 확보가 최우선 과제인데.
“행정은 편한 사람들과의 작업이고 정치는 불편한 사람들과의 작업이라는 말이 있듯이, 지역발전과 관계된 것이라면 여야 상관없이 정부여당과 소통하고 협력하겠다. 저의 장점 중 하나가 국가예산이 어떻게 돌아가며, 어떻게 하면 예산확보가 가능한지 길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예산을 받는 논리를 제대로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열정적으로 일하면 국비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인근 부산 기장군과 비교하면 남울주는 그린벨트로 묶인 지역이 많아 개발이 더딘데, 국회 차원의 해결 방안을 고민해봤는지.
“그린벨트라는 것은 도심의 무분별한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도심 외곽에 지정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울산은 도시 안에 많이 있다. 남울주뿐 아니라 울산경제 발전의 제약사항이 되고 있다. 제2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나 종합대학 유치,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하려면 결국 수십만 평 규모로 개발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할 수 있는 지역이 대부분 그린벨트다. 시도지사가 해제할 수는 개발제한구역을 기존 30만㎡ 이하에서 100만㎡ 이하로 확대하도록 관련법을 바꿔야 한다. 또 대규모 국책사업의 경우 개발면적의 일부가 환경평가 1·2등급이라도 사업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
-경찰 고위직 출신으로, 권력기관 개혁에 대한 입장은.
“권력에 대한 검찰 독립이 핵심이다. 물론 검찰의 무소불위 권한을 축소하기 위해 검찰의 권한을 줄이는 데에도 동감한다. 그러나 공수처 설치에는 반대다. 대통령이 임명하는 공수처장이 청와대와 그 측근을 제대로 수사하기 어렵다. 그래서 공수처는 옥상옥이다. 지금 이대로라면 문제가 생길 것 같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