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의 미래 대선공약, 새로움과 실질성이 필요하다
제21대 대선을 보름 앞둔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울산 지역 발전을 위한 7대 공약을 발표했다. 의료 인프라 확충, 첨단산업 육성, 관광·물류 활성화, 문화 콘텐츠 확대, 주력산업 고도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등 울산의 산업 구조와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울산시가 제안한 핵심 대선 과제가 대부분 반영되지 않은 데다, 이번 공약의 상당수가 이미 제20대 대선에서 제시됐거나 현재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사업이라는 점에서 아쉬움도 크다. 실질적인 변화나 새로운 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날 발표된 7대 공약 중 울산의료원 설립은 지난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에서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무산된 바 있다. 초광역 국가 고자기장 연구소 설립은 2022년 울산시와 광주시·강원도가 공동 진행한 용역 결과,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도출돼 울산시가 유치를 추진 중이다.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등재,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태화강역 인근 문화 엔터테인먼트 파크 조성(세계적인 공연장) 등의 사업도 지자체 주도로 활발히 추진 중이다.
이 후보는 앞서 2022년 제20대 대선 당시 울산 공약으로 ‘울산의료원 조속 설립’, ‘탄소중립 대응 핵심거점 육성’ ‘부산·경남 연결 교통망 확충’ ‘반구대 암각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수소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 ‘한센인 마을 환경 개선’ 등 6개 공약을 제시하며 “사람이 행복한 도시 울산을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울산시는 최근 교통, 에너지 등 5대 분야에 걸쳐 12개 정책 과제, 35개 세부 사업을 발굴하고, 총 25조8000억 원 규모의 대선 공약 반영을 각 정당에 요청했다. 특히 ‘울산형 제조 AI 혁신 허브’ ‘양자 미래 기술 클러스터’ 등 10대 핵심 사업은 산업 구조 전환을 위한 전략 사업으로 선정했지만, 이번 공약에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울산은 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디스토피아’라는 암울한 미래에 직면해 있다. 산업도시 울산의 미래를 바꾸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탕 공약이 아닌, 실현 가능한 혁신 전략과 실질적인 공약이 절실하다. 울산시가 제안한 대선 과제들이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지역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