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서흥원 낙동강유역환경청장, “화학안전은 울산 지역사회 공동의 과제”

2025-05-21     서정혜 기자

“화학안전은 울산의 일부 기관이나 특정 기업만의 과제가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가 함께 공통의 과업으로 인식하고 책임지며 나가야 할 공동의 과제입니다.”

울산은 국내 취급 화학물질의 40%가량이 밀집된 화약고로, 석유화학 등 위험 물질을 취급하는 크고 작은 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이런 울산의 화학안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중소기업 화학안전 멘토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흥원(사진)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을 만나봤다.

-울산 중소기업 화학안전 멘토링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울산은 울산미포·온산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공업도시다. 울산은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 사업장 수 대비 취급시설을 보유한 사업장이 약 70%로 굉장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 5년간 전국 화학사고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어 잠재적 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다. 특히 중소기업은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한 환경 법령 준수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시스템 관리 역량이 부족해 화학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기에 예방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의 화학안전관리 노하우를 전수받아 자체 대응능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기반’ 마련을 지원한다는 취지에서 민·관·산·학이 협력하는 멘토링 사업을 기획하게 됐다. 특히 울산에서는 대기업이 보유한 높은 수준의 기술과 노하우를 중소기업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일회성 점검을 넘어 상시적 안전관리 체계가 정착될 수 있게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사업 첫해 사업 성과는.

“2024년 추진한 ‘중소기업 화학안전 멘토링’ 사업은 울산 대기업 11개사와 중소기업 22개사가 1대1로 매칭돼 총 44회의 멘토링을 진행했다. 멘토링 결과 총 189건의 화학안전 개선 성과를 도출해 중소기업별로 알맞은 안전 개선을 이끌어냈다. 특히 화학물질관리법을 포함해 중소기업에서 준수하기 힘든 환경 관련 법령 컨설팅을 시행하고, 21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업체별 약 100만원을 지원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설비 관리를 위한 방재물품 확보, 물질 표시판 설치, 자가측정 장비 구입 등 실질적인 화학안전 개선을 이뤄냈다.”

-올해 사업 추진으로 어떤 점이 달라질 예정인가.

“단기적으로는 중소기업이 환경 관련 법령 위반이나 화학시설 관리 미비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단순히 보여주기식이 아닌 대기업 실무자 중심으로 구성된 멘토기업이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해 현장컨설팅과 기술 지원을 실시해 현장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바로잡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또 중소기업 멘티사도 대기업을 직접 방문해 우수한 화학안전 관리시스템을 직접 경험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울산 전역에서 화학사고 예방 문화가 자리 잡게 되길 기대한다. 단순히 정부가 일방적으로 규제하는 구조가 아니라 기업 스스로가 책임감을 가지고 안전을 강화하는 구조로 변화한다면, 이는 곧 울산을 화학사고 안전도시로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화학안전과 관련에 기업 등 지역 사회에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무엇보다 기업들은 ‘설마’하는 마음가짐과 ‘사고는 남의 일’이라는 인식을 버리고, 실질적인 예방 활동에 나서야 한다. 보호장비 착용, 점검 기록 유지, 정기 교육과 같이 사소해 보이지만 기본적인 부분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결국 가장 강력한 예방 수단이다. 낙동강환경유역청은 앞으로도 기업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점점 강화되고 있는 환경 관련 법령을 중소기업이 준수할 수 있게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를 함께 고민하겠다. 특히 정부의 규제 이전에 자율적인 안전관리가 조속히 정착되는 문화 형성이 더 중요하다. 울산이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산업도시가 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 대기업, 시민, 그리고 행정주체가 서로 협력해 주길 바라며 낙동강유역환경청도 맡은 바 책임을 다해 나가겠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