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조선업 미래 경쟁력 키울 허브 만든다

2025-05-21     석현주 기자
자료이미지

울산시가 조선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소재 실증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시는 이를 통해 조선산업 분야에 있어,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전략 거점을 노리겠다는 포석이다.

시는 울산미포국가산단 기술혁신지구에 ‘조선해양용 복합소재 제조기술 허브’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300억원(국비 210억·시비 90억원)을 투입해 조선해양용 복합소재 성형 실증 지원 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울산은 국내 최대 조선산업 집적지로 1000여 개의 중소·중견 조선기자재 업체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친환경·고효율 선박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경량화 핵심소재인 복합소재의 연구개발과 실증을 지원할 전문 인프라가 부재한 상황이다.

시는 이번 시설을 통해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지역 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계기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울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HD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지역 대학 등 11개 혁신기관과 지난 4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 중인 2026년 정부 예산 반영 여부가 가시화되면 사업은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조선해양용 복합경량소재는 알루미늄 합금, 유리섬유(GFRP), 탄소섬유(CFRP) 등으로 구성된 섬유강화 복합재료다.

기존 철강 소재를 대체해 선체, 의장부품, 배관 등 선박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재는 무게를 30~40%까지 줄일 수 있으면서도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해 고속정·연안경비정·레저보트 등 중소형 선박의 경량화와 효율화에 적합하다.

시가 복합소재 개발 지원에 나서는 것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 정부의 친환경 선박 의무화 발주 정책 등 전 세계적인 친환경 선박 전환 흐름에 따라 경량화 기술 확보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선체 중량이 10% 줄어들 경우 연비는 약 6~8% 향상되며, EEDI(에너지효율설계지수) 기준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해법이 된다.

정부도 관공선을 시작으로 민간 영역까지 친환경 선박 발주를 확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복합소재 수요는 향후 몇 년간 급증할 전망이다. 복합소재를 도입하는 기업이 곧 시장 선도기업이 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복합소재는 단순한 소재 대체를 넘어 조선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공정 구축에도 중요한 축으로 평가된다. 섬유강화 복합재의 경우 항공 산업에서 이미 첨단 적층 기술이 도입됐지만 조선 분야에서는 곡면 적층 공정의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이 여전히 과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조선해양용 복합소재 실증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 기업 맞춤형 기술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복합경량소재 실증센터는 단순한 테스트 공간을 넘어 울산 조선업의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술 혁신을 이끄는 전략 거점이 될 것”이라며 “중소 조선업체들이 세계적인 규제와 기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