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시내버스 28일 총파업 예고…노사 막판 타결 모색
2025-05-22 석현주 기자
21일 시와 울산지방노동위원회 등에 따르면,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 3월5일부터 5월12일까지 총 6차례에 걸쳐 임금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결렬돼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접수했다. 조정 기한은 오는 27일까지이며, 노사는 막판까지 타결을 위한 협상을 이어갈 방침이다.
관건은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린 것이다. 이를 임금에 어떻게 반영할지를 둘러싼 노사 간 입장차가 크다.
노조는 8.2%의 임금 인상과 정년을 65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대법원 판결로 인한 통상임금 반영만으로도 실질적으로 약 16%의 임금 인상 효과가 발생하는 만큼 노조안이 반영될 경우 올해 전체 임금 인상률은 최대 24.2%에 이를 수 있다.
시는 매년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으로 약 1300억원을 지원하고 있는데, 노조 요구안이 수용될 경우 재정지원금이 300억원 이상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같은 문제는 울산만의 상황은 아니다.
전국 시내버스 노조의 상급단체인 한국노총 자동차노련은 지난달부터 전국 산별노조 단위로 임금 협상을 진행 중이며 오는 28일 전국 동시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울산 역시 27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8일 첫 차부터 파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전체 187개 노선, 889대 중 105개 노선, 702대가 운행을 멈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세원이 운영하는 직행좌석버스 4개 노선(1703번·1713번·1723번·1733번)의 18대와 지선·마을·마실버스 78개 노선 169대는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마지막 울산 시내버스 파업은 2019년 부분파업이다.
문제는 울산에 도시철도가 없어 버스 파업시 시민들이 이용할 대체 교통수단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전세버스는 대부분 기업체와 장기계약을 맺고 있어 긴급 투입이 어렵다. 봄철 나들이 시즌과 맞물려 수요가 많아 전세버스 확보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시는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파업 시 즉각 재난 문자와 TV 방송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상황을 알리고, 승용차 요일제 해제, 공영주차장 및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개방, 법인·개인택시 운행 확대 등의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또 기업체와 학교에는 출퇴근·등하교 시간 조정, 통근버스 확대 운행, 승용차 동승(카풀) 활성화 등 자발적인 참여를 당부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막판까지 협상이 타결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