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통상 압박…울산 수출산업 먹구름
2025-05-28 오상민 기자
특히 자동차 수출은 직격탄이 예상되는 반면, 조선업은 미국의 중국 견제 흐름 속에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는 27일 ‘트럼프 2.0 뉴노멀 시대, 미국 통상정책과 울산 수출’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은 단순히 관세를 높이는 수준이 아니라, 국제 경제질서를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흐름”이라며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밝혔다.
현재 울산의 대미 자동차 수출에는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이 조치가 오는 7월9일 유예 종료와 함께 계속 유지될 경우, 지난해 수출 기준 약 37억5000만달러(약 5조1600억원)에 달하는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의회는 최근 전기차 구매시 세금 혜택을 대폭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전기차 확대를 주도해 온 캘리포니아주의 배출가스 규제도 무력화됐다. 이에 따라 울산의 전기차 수출 역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반면 조선업은 희망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다. 미국은 중국 조선사나 선박에 대해 입항세 등 새로운 규제를 예고했으며, 해양 안보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군함 수리나 정비 수요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해 울산 조선사들이 미국 정부와 군함 정비 계약(MSRA) 체결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울산의 선박 수출은 35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8% 증가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에서 12.4%로 크게 늘었다.
무역협회는 울산 기업들이 미국이 부과하는 고율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FTA 협정세율은 대부분 0%이므로, 기본세율에 추가되는 상호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석유제품, 이차전지, 자동차 부품 등 미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무역협회 울산본부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은 울산의 주력 수출 산업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관세 협상뿐 아니라 새로운 수출국 발굴 등 유연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상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