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대선 최대 승부처 사전투표 막올라

2025-05-29     전상헌 기자
자료사진

6·3 대선 후보들이 ‘12·3 비상계엄 책임론’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 등을 놓고 선거 막판까지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29일부터 실시되는 사전투표에 관심이 쏠린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이른바 ‘깜깜이 기간’ 상황에서 각 후보 지지자들이 사전투표로 결집할지 주목된다.

28일 울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전투표는 29일과 30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울산지역 55개 사전투표소를 비롯해 전국 3568곳 투표소에서 실시된다.

2013년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는 본 투표 날 유권자들이 주민등록상 관할 주소지에서 투표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전국 어디에서나 투표할 수 있다.

울산에선 지난 2022년 3월 치러진 제20대 대선에서 역대 최고 사전투표율인 35.30%를 기록했다. 이어 지난해 4월 열린 제22대 총선 사전투표율은 31.28%로 나타났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으로 2017년 5월 치러진 제19대 대선 사전투표는 이번 대선과 같이 목~금요일(4~5일)에 실시됐지만, 어린이날 ‘징검다리 연휴’와 맞물려 사전투표율이 26.69%에 머물렀다.

울산지역 정치권은 지지층의 투표율 제고가 대선의 최대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고, 사전투표율 끌어올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울산선거대책위원회 이선호 상임선대위원장은 이날 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사전투표 참여로 울산의 미래를 결정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 위원장은 “12·3 불법계엄 이후 탄핵에 이르는 123일간, 추운 겨울을 뚫고 광장을 지켰던 울산 시민의 그 간절함을 믿는다. 29~30일 치러질 사전투표도 간절함으로 참여해 달라”며 “여러분의 한 표가 울산을 다시 희망의 도시로 만들 수 있다. 이재명 후보와 함께 새로운 울산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울산선거대책위원회 김기현 총괄선거대책위원장도 이날 같은 장소에서 “울산의 동남풍으로 이재명 총통 독재를 막아달라”며 적극적인 사전투표 독려를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편향된 이념에 갇혀 나랏빚이야 늘든 말든 현금살포를 일삼고, 강성귀족 노조의 눈치만 보면서 온갖 처벌과 규제와 세금으로 기업인들의 투자의욕을 꺾어버리고, 터무니없는 환경 지상주의에 빠져 원전산업을 붕괴시키는 것은 경제를 폭망하게 할 것”이라며 “선거일 하루의 투표로는 부족하다. 이재명의 당선을 막기 위해 시민 여러분들께서 투표로 보수후보 단일화를 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민주노동당 울산선거대책위원회 하부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역시 이날 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평등 해소가 진정한 내란 청산이다. 사전투표부터 진보세력에 힘을 모아달라”며 권영국 대선후보 지지를 호소했다.

하 위원장은 “권영국 후보는 노동자, 농민, 장애인, 여성, 청년, 소수자, 영세자영업자 등이 함께한 123일 윤석열 탄핵광장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유일한 진보 후보다”며 “진짜 민주주의가 제대로 뿌리 내릴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전투표로 권영국을 선택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거주지와 상관없이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가면 투표할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하지만, 캡처 등을 통해 저장한 이미지 파일은 인정되지 않는다. 거주지 밖에서 투표하는 ‘관외 투표’의 경우 투표용지를 기표한 뒤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한 다음 투표함에 넣으면 된다.

구·군 선관위는 관내사전투표함과 우편투표함을 CCTV가 설치된 장소에 선거일까지 보관해 누구든지 울산시선관위 청사 1층에 설치된 대형 CCTV 화면을 통해 24시간 보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