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한영옥 ‘입장(立場) 속으로’
2025-06-02 차형석 기자
도움을 주어야 할 입장이다
걸음이 새털처럼 가볍다고 할 순 없다
어디까지 관여해야 훈훈할 것인가
화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받았다는 기억은 시간이 흐른 뒤
여러 가지 태도를 낳기 때문이다
한 태도 때문에 밤샘을 한 적도 있다
그래도 만나러 가고 있는 중이다
말없이 오래 안아주는 느긋한 천성을
오래 부러워만 하며 살아왔다
입장을 바꿔보라는 귀한 조언을
여러 번 귀하게 쓴 적이 있을 뿐
땀을 흘리며 관여한 적은 없었다
거의 다 와 가고 있는 중이다
그의 입장 속으로 입속의 사탕처럼,
혹은 눈이 녹듯 입장(入場)하려 애쓴다
걸음이 점점 빨라지고 있는 건 아니다.
‘역지사지’ 말은 쉽지만 실천 어려워
우리는 쉽게 ‘입장을 바꿔보라’는 말을 한다. 그런데 사실 역지사지가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생각이야 쉽게 할 수 있겠지만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하는 일은 쉬이 하기 어렵다. 이 시에서는 입장을 바꿔 보라는 흔한 말 속에 숨어 있는 윤리적 실천의 어려움과 용기를 섬세하게 조명하고 있다.
단순한 만남을 넘어 타인의 입장이 돼 보는 것은 진심 어린 공감과 책임이 따르는 일이다. 시의 처음 부분에서도 도움을 주러 가는 입장에서의 책임감과 조심스러움이 드러난다. ‘도움’과 ‘간섭’의 경계는 늘 모호하다. 더구나 도움을 받았던 사람이 나중에 그 기억을 잊고, 혹은 잊은 척하고 태도를 바꾸는 일도 왕왕 있다.
그래도 만나러 가는 것은 타인의 고통을 말없이 껴안아 주는 사람을 오랫동안 부러워만 했기 때문이다. 그 넉넉한 품이 줬던 감동에, 화자는 늦게나마 스스로 움직이기로 한다.
물론 상대의 입장(立場)으로 입장(入場)을 할 때는 입속의 사탕이 녹듯 서서히 스며들어야 한다. 요란한 입장은 반감을 불러온다. 요컨대 이것은 태도의 문제다. 도움을 받는 사람이든 주는 사람이든, 서로를 존중하고 귀하게 여기는 태도가 필요하다. 인간관계는 여전히 어렵다.
송은숙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