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와 산업수도 울산의 주요 관심사]국비·숙원사업 해결 ‘물밑 가교’ 시급

2025-06-10     김두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재명 정부와 국민의힘 소속 김두겸 울산시정부의 상생 발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한민국 경제 중심부 산업수도 울산이라는 현실에선 이재명 정부와 김두겸 시정부의 초당적 상생관계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 주재 제2국무회의(전국시도지사회의)가 개최되면 김 시장이 직접 참석, 현안해법에 적극 나설 필요성도 제기된다.

연장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이선호)과 국민의힘 울산시당(위원장 박성민) 등 지역정치권 역시 초당적으로 지역발전을 전제로 견제와 균형을 이뤄나가야 하는 책임이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울산시정부의 가장 화급한 현안과 과제는 △내년 국비 확보 △시정부가 추진 중인 울산국제정원박람회를 비롯한 중대형 프로젝트 △이재명 대통령의 7대 공약사업 추진 등인 것으로 파악된다.

먼저 시의 내년도 국비확보 목표는 역대 최대 규모인 3조7500억원으로 잡고 있다. 이에 시는 내년도 국가예산안이 오는 9월 정기국회에 넘겨지기 전 지역 여권인 민주당 김태선(울산 동구) 의원과 야당에서 여당으로 말을 바꿔 탄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 범여권 진영으로 분류된 진보당 원내대표 윤종오(울산 북구) 의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라 보고 있다. 야당인 국민의힘 김기현(울산 남구을) 전 대표와 박성민(울산 중구) 시당위원장, 서범수(울산 울주군) 전 사무총장 등은 국회와 대여권을 상대로 전방위 대처가 급선무다.

또한 김두겸 시정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국제정원박람회를 비롯한 중대형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총리실과 국무조정실, 국회를 상대로 기민하고적극적인 움직임이 요구된다.

여기다 이재명 대통령의 7대 공약사업의 조기 추진도 빼놓을 수 없다. 어린이 치료센터를 특화한 울산의료원 설립을 비롯해 국가 고자기장연구소 설립을 통한 신소재 분야 첨단산업 창출, UNIST를 중심으로 R&D 인프라 확충 등은 울산의 기시적 발전과 관련돼 있어 속도를 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지역 정치·행정 일각에선 국민의힘 소속 김두겸 시정부가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각종 현안 해법 등을 순조롭게 추진하기 위해 물밑 가교역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특단의 방안으로 이재명 대통령 측 인사 가운데 울산정치·행정과 산업수도 지형을 훤히 꿰뚫는 동시에 정무적 감각을 겸비한 인사를 발탁해 전진 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야권이 된 국민의힘 소속 11곳의 시도지사들도 집권 민주당과 이재명 정부와의 가교역할을 할 인물 배치를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 여의도 정치권 관계자는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되면 대통령과 정당이 다른 시도지사의 경우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교역이 필수”라고 진단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