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시각]갈라진 울주군의회, 포용·협치의 정치를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국회를 좌우하게 됐다. 3분의 2에 달하는 의석 수를 바탕으로 독자적 법안 처리가 가능해지는 등 개헌을 제외한 입법 대부분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게 됐다. 이는 문재인정부가 임기 후반부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국정 운영 실패의 책임을 야당에 돌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총선 후 여권이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권력에 취해 독주하는 대신 야당을 포용하고 협의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른다. 행정에 이어 입법까지 장악한 만큼 오만하고 독선적이라는 비판을 받기 쉬워졌고, 야당을 끌어안는 노력을 보이지 않으면 차기 대선에서 외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몸을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조언은 울산 울주군의회에도 해당된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며 출범한 제7대 군의회는 진보 진영이 역대 처음 과반을 차지했다. 더불어민주당 6석, 미래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 3석, 무소속 1석이었다. 이번 총선 직전 무소속 한성환 의원이 입당하면서 의석 구도는 7대3으로 완전히 기울어졌다. 각 상임위원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21대 국회보다 더 압도적인 표결력을 보이게 됐다.
7대 군의회는 출범 후 민주당 질주에 야당이 제동을 걸려고 애쓰는 형국이었다. 첨예한 대립을 겪은 각종 사안은 표결 끝에 민주당의 의도대로 처리됐다. 이 과정에서 여야 불신은 격화됐다. 여당은 야당이 명분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로 제동을 건다고, 야당은 여당이 집행부의 거수기로 전락했다고 사사건건 대립했다.
이런 불신은 전 군민을 대상으로 지급한 긴급지원금 처리 과정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양당 모두 지원금 지급에는 이견이 없었지만 지급 시기를 결정할 군의회 임시회 개회를 놓고 대립각을 세웠다. 야당은 사전 조율 없이 집행부의 일방적 통보에 따라 임시회를 열 수 없다며 예정대로 5월 임시회를 주장한 반면, 여당은 시급성을 주장하며 4월 중 원 포인트 임시회를 열자고 요구했다. 야당 소속 운영위원장이 이를 거부할 경우 의장 직권 상정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이 과정에서 여야 의원 간에 격한 언사가 오가기도 했다. 결국 여당의 뜻대로 지난달 20일 원 포인트 임시회를 열기로 했지만 개운치 못한 뒷맛을 남겼다.
깊어질 대로 깊어진 감정의 골을 메우지 못하면 남은 2년여 군의회는 보나마나다. 야당의 반발은 더 격화될 테고 여당은 늘어난 의석 수를 바탕 독주할 것은 불 보듯하다. 군의회는 총선 이후 국회에 제기되는 조언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총선에서 통합당을 선택한 40%가 넘는 군민의 목소리 역시 귀 기울여야 한다.
조만간 실시될 후반기 원 구성은 그 시험대다. 전반기 야당 의원 3명 중 2명에게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자리를 배정했는데, 후반기 역시 적절한 배분을 통해 화해의 손길을 내밀 필요가 있다. 정치의 본령은 대화와 타협이다. 이춘봉 사회부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