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의 체감물가, 필수 지출이 만든 압박이다

2025-07-03     경상일보

울산의 소비자물가가 5개월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하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생선류·채소류·과실류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0.6% 상승한 것에 비해 생활물가지수는 2.4%나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결과다.

특히 에너지 요금, 가공식품, 서비스 비용 등 필수 지출 항목의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시민들의 체감 부담이 더욱 커졌다. 이는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형 인플레이션’의 전형으로, 서민 가계의 생활비 부담을 키우고 생계 유지에 위협이 되고 있다.

에너지부문은 여전히 체감 압박의 핵심이다. 울산은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 등에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여름철 냉방 수요까지 겹치며 고정비 부담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동 사태 여파로 국제유가가 반등하면서 석유류 가격도 다시 올랐다. 대외 변수와 계절 수요가 맞물리면서, 에너지 가격은 쉽게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가공식품도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라면, 빵, 커피 등 자주 소비되는 품목들이 줄줄이 오르며, 식탁물가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도 동반 상승해 장바구니 부담은 계속 커지고 있다. 특히 외식비, 미용료, 보험료, 수리비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부문의 가격 상승이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지출 대부분이 선택 가능한 소비가 아니라 줄이기 어려운 ‘필수 소비’라는 점이다. 고령층과 1인가구처럼 소득 대비 고정비 비중이 큰 계층에겐 생활물가 상승이 단순한 물가 문제를 넘어 생계와 직결 된다. 특히 울산처럼 필수 지출 비중이 큰 지역일수록, 물가 상승이 서민 가계에 부담을 안겨주고, 생활 안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는 2%대 상승률을 두고 안정 흐름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물가 상승은 일시적 외부 요인이 아닌, 내수 기반 구조에서 비롯된 고정비 중심의 압력이라는 점에서 더 위험하다. 이에 따라 울산 실정에 맞는 생활 밀착형 물가 완화 대책과 소비 진작 대책이 필요하다. 공공요금 인상 억제, 생필품 할인 연계, 에너지바우처 확대 등 실효성 있는 대응이 절실하다. 시민들의 체감 물가가 안정되지 않는 한, 통계상의 물가 안정은 현실과 동떨어진 허상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