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AI특구 등 울산현안, 국가균형발전의 시험대
울산시가 8일 열린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간담회에서 ‘비수도권 제조산업형 인공지능(AI) 집적단지 및 특구’ 지정을 공식 건의했다. AI 기술을 통해 전통 제조업을 혁신해 울산을 제조업 혁신 허브로 발전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힌 것이다. 또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확실시되는 반구천 암각화에 대한 국가적 투자와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울산시는 이날 간담회에서 대통령 지역공약인 세계적 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조성, 반구천 세계유산 역사문화공간 조성,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의 미래 친환경산업 전환 등 10건과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전략과제로 비수도권 중심 제조산업형 인공지능(AI) 집적단지 및 특구 지정 등 5건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 가운데 시가 AI 집적단지 및 특구 지정을 정부에 요청한 배경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전통 제조업의 산업 경쟁력 저하로 인한 구조적 위기를 극복하고 첨단 산업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목적에서다. 울산은 이미 풍부한 산업 기반과 생산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AI 기술을 접목시키면 제조업 생산성 향상과 기술 중심의 산업 구조 개편이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난 6월 울산을 찾아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손잡고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에 초대형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한 것은 지방에서도 첨단산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범사례”로 평가하며 “지방경제를 살릴 수 있는 돌파구”라고 의미를 부여한바 있다.
울산은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역대 민주당 대선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안기며 지역 개발에 큰 기대감을 보였지만, 당시 제안한 35개 세부 공약 중 절반 이상이 정책화되지 않았다. 이번에 울산이 제시한 대통령 지역 공약과 지역 전략 과제는 단순한 지역사업 제안을 넘어서, 대한민국 산업 구조의 전환과 수도권 일극 체제 해소라는 국가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울산 AI 특구 지정은 그 기대에 응답하고, 지역민들의 신뢰를 다시 세울 수 있는 시험대이자 기회다.
국가균형발전은 선심성 재정이 아닌, 실현 가능한 계획과 전략적 투자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 수도권 중심의 성장 전략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 분권형 경제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첫 실험은 지방 대도시에서 시작돼야 한다. 정부의 전략적 투자와 정책적 뒷받침이 있어야만, 지방 경제의 실질적인 변화와 성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