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세계유산 도시 울산, 실행력이 문화도시 완성한다

2025-07-16     경상일보

울산시가 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문화도시 도약’을 공식 선언했다. 반구천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를 울산의 미래를 여는 새로운 도시비전으로 삼아, 문화와 관광을 중심으로한 도시발전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반구천 암각화가 세계 유산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울산시의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만들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김두겸 시장은 15일 세계유산 등재 기념 비전 발표 회견에서 “세계유산 등재는 단순한 기념이 아닌 울산의 미래를 여는 새로운 도시비전”이라며 울산의 미래를 그릴 ‘5대 전략과 22개 핵심사업’을 발표했다. ‘세계유산 브랜드화’ ‘문화관광 활성화’ ‘연결망 구축’ ‘교육 강화’ ‘보존관리 체계 확립’ 등의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암각화센터 건립, 세계역사도시연맹(LHC) 가입 등 핵심사업들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이날 발표는 울산광역시 승격 28주년을 맞은 날 이뤄졌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울산의 다음 30년을 여는 출발을 알리는 선언적 의미가 있어서다. 이제 필요한 것은 이 포부를 실행 가능한 구조로 구체화하는 일이다.

문화도시를 표방한 도시가 적지 않지만, 성공 사례는 드물다. 대부분 선언은 화려하지만 실행 단계에서 사업은 흩어지고 공간은 단절된다. 울산의 핵심 사업인 테마공원, 탐방로, 콘텐츠 제작, AI 보존 시스템 등도 이 같은 한계를 넘어야 한다.

핵심은 통합된 경험 설계다. 세계암각화센터는 전시·교육·연구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만 실효성이 있다. 관광동선도 반구천과 도심, 산업현장, 생태자원이 끊김 없이 연결돼야 한다. 유산을 따라 걷다 보면 도시의 정체성과 시민의 기억이 함께 읽히는 설계, 그것이 문화도시다.

교육과 보존 전략 역시 현장성과 제도 연계가 핵심이다. 시는 교과서 개정과 VR 콘텐츠 개발을 예고했지만, 교육 현장과 교사 참여 없이 추진하면 체험행사로 끝날 수 있다. 보존 전략도 마찬가지다. 전문 인력 확보와 양성 체계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민 참여는 문화도시 비전 전반을 관통하는 과제다. 김 시장은 “세계유산을 지키고 누리는 주체는 시민”이라고 말했다. 이를 실현하려면 단순한 홍보 캠페인을 넘어, 해설·기획·운영 등 각 영역에 시민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구조가 필요하다. 문화도시는 정책이 아니라 시민 삶의 방식으로 구현돼야 한다.

이제 필요한 건 사업간 중복을 조정하고, 전략간 흐름을 통합하며, 실행력을 확보하는 행정의 설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