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 강선우(여가부장관 후보)·이진숙(교육부장관 후보) 자진사퇴론 고개

2025-07-18     김두수 기자
서울 용산 대통령실과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지도부가 국회 인사청문 이후에도 거센 사퇴 여론에 직면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두고 연일 고심이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17일 여권에 따르면 강 후보자의 경우 보좌진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이 여전한 데다, ‘병원 갑질’ 의혹이 추가로 제기되면서 비판 여론이 오히려 거세지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이 후보자에게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문제 등이 교육 수장으로서는 결격 사유라는 지적이 제기돼온 상황이다. 현역 국회의원인 강 후보자의 경우 당내 보좌진은 물론 여성계와 시민사회 등 진보 진영 전반으로 비토가 확산하면서 여권 기류도 애초 ‘엄호’ 기조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되는 기류가 감지된다. 갑질 문제는 휘발성이 강한 이슈인 데다 거짓 해명 논란이 결정타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여권 일각에서 자진사퇴 불가피론이 연이어 흘러나오는 이유다.

더불어민주당 친명(친이재명)계 한 의원은 “강 후보자 관련 피해를 봤다는 분들의 의견을 분명히 청취해 볼 필요가 있고, 국민 여론, 국민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내 한 중진 의원도 “여론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임명권자와 상의해 본인이 판단에 나설 시점”이라고 말했다. 자진사퇴로 가닥을 잡아야 한다는 취지다.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 역시 이날 SBS 라디오에 나와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언급, “대통령께 그만 부담을 주셨으면 한다. 자진 사퇴가 맞다”고 일갈했다.

대통령실은 일단 입장 변화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금은 인사청문 과정 중으로 모든 과정을 다 살펴보고 나서 인사권으로 답할 것”이라고 했다.

전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 여론 동향이 매우 안 좋게 돌아가는 것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는 공개적인 언급과 여당의 기류 변화 등을 감안하면 적어도 강 후보자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기울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결국 임명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결심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회 인사청문회 슈퍼위크 나흘째인 이날 여야는 앞서 마무리한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를 두고 날 선 공방을 펼쳤다.

여권이 이진숙 교육부·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에 대한 고심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임명 불가’ 대상을 확대하고 전체 후보자의 보고서 채택을 봉쇄하면서 낙마 공세 수위를 높였다.

특히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 전원에 대한 국회 보고서 채택을 보류키로 한 데 이어 청문회가 끝난 후보자에 대한 보고서 채택에 응하지 않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