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권태혁 교수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 선정
2025-07-21 이다예 기자
권 교수팀은 췌장암과 같은 저산소성 고형암을 타깃으로 한 광감각 항암제 치료법을 개발했다. 빛으로 물을 분해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ROS)가 암세포를 공격하며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원리다.
기존 광역동치료(PDT)는 종양 주변 산소에 의존해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 기술은 물을 산화시켜 활성산소를 생성, 산소 부족 환경에서도 탁월한 항암 효과를 보인다.
연구팀은 이를 췌장암 모델에 적용해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세포와 생체 수준에서 활성산소가 암세포 막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산화시켜 피롭토시스 형태로 암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밝혀냈다.
권태혁 교수는 “광감각제 설계, 세포사멸 생물학, 면역학을 융합해 기존 항암 전략을 혁신할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고형암 치료 한계를 극복하고, 면역치료와 병용 가능성을 열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