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폭우 피해에 정부·여야 복구 총력

2025-07-21     김두수 기자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폭우 피해 복구에 총력전을 펼치고 나섰다.

2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쏟아진 비로 인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전국에서 14명이 숨지고 12명이 실종되는 등 피해가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최근 계속된 폭우로 큰 피해를 본 지역에 대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조속히 선포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보낸 공지 메시지에서 이 대통령이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라는 주문과 함께 이 같은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주민들이 각종 세금 납부 유예 및 공공요금 감면 등의 혜택을 볼 수 있다. 지방정부 역시 재난 복구 비용 일부를 중앙 정부에서 지원받으면서 재정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여야 정치권도 수해 피해 복구에 총력을 펼쳤다.

민주당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김병주 최고위원,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 등은 이날 충남 아산의 호우 피해 현장을 방문해 이재민들을 위로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 16일부터 시작된 폭우로 아산시는 주택, 상가, 도로 등이 침수돼 156억원의 재산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지역 누적 강우량은 이날까지 평균 388.8㎜에 달한다고 오세현 아산시장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오 시장은 김 원내대표에게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돼야 가옥이 완파돼도 7500만~1억3만원 지원이 가능하며, 전기요금 등도 감면된다”고 지원을 요청했다.

김 원내대표는 “피해가 신속히 복구되도록 대통령과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직접 건의했다. 피해 복구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재해 위험 지구 사업을 통해 빠른 시일 내에 펌프가 제대로 만들어졌으면 이번 재해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국비 지원이 4~5년에 걸쳐 느리게 진행되다 보니 결국은 4년 전 참사가 반복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협의해 공무원들이 피해 지역에 대한 우선 지원을 하고 이후 조치하는 것에 대해 감사하지 않는 방향으로 건의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지금 피해 상황을 긴급히 점검하고 세심한 복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경남 산청 현장으로 가고 있다. 관계 당국은 실종자 수색 작업에 총력을 기해주되, 수색대원들의 안전을 도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서부 경남 내륙지역과 충남 서해안 지역 등 비 피해가 큰 지역을 조속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긴급 지원을 제공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