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4억 넘는 울산 ‘국평’ 2년새 16배↑
상태바
전셋값 4억 넘는 울산 ‘국평’ 2년새 16배↑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1.11.0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국민평형’으로 불렸던 전용면적 60~84㎡ 아파트의 문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전용면적 60~84㎡의 울산 아파트 가운데 전셋값이 4억원을 넘는 단지가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7월 말부터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되면서 전셋값이 급등한 영향이다.

3일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1~10월 울산지역 내 60~84㎡ 아파트 전세 거래 중 4억원 이상 거래는 총 472건으로 집계됐다. 2년 전만 하더라도 28건에 불과했던 4억원 이상 국민평형 아파트 전세 거래가 16배가량 급증한 것이다.

4억원 이상 고가 전세 아파트의 74.2%는 남구와 중구에 집중돼 있었다. 남구가 196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중구(154건), 북구(54건), 울주(35건), 동구(33건) 순이다.

이처럼 60~84㎡ 평형의 전세계약이 3~4억원 안팎에서 이뤄지는 거래가 늘어나는 추세로 ‘국평 아파트’ 전세 문턱 자체가 높아지고 있다.

2019년만 하더라도 3억원 이상에 계약된 ‘국평 아파트’ 전세는 전체 거래의 2.9%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43.8%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5억원이 넘는 임대차 계약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에는 해당 가격대의 거래가 단 한건도 없었지만 지난해 27건(1~12월)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10월까지만 보더라도 67건으로 이미 지난해 1년간 거래건수를 한참 넘어섰다.

특히 5억원 이상으로 거래된 전세계약 67건 중 3곳(약사아이파크·약사더샵)을 제외한 64건은 모두 남구 소재 아파트였다.

남구 옥동 대공원한신휴플러스(전용면적 84㎡)는 올해 7억3000만원에 전세계약서를 쓰면서 ‘국평 아파트’ 중 가장 고가에 전세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4억원이 넘는 고가 중형 아파트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 7월말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을 통해 시행된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 시행에 따른 전셋값 급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업계에선 이 같은 전셋값 상승세가 내년에는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대출 규제로 매수세 위축된데다 지역내 신규 입주 물량 부족으로 전세 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 때문이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지난해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한 전세매물이 5% 상한선 규제가 없는 신규계약으로 전환되기 시작하는 만큼 전셋값이 폭등할 수 있다. 또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입주 물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만큼 전세보증금이 4억원을 넘는 ‘국평 아파트’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