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302곳을 대상으로 ‘2022년 기업의 채용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9.8%가 올해 고용시장 전망에 대해 ‘고용 규모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69.2%)되거나 ‘더 늘어날 것’(10.6%)이라고 답했다.
‘코로나 영향으로 줄어든 수준이 유지’(15.9%)되거나 ‘더 줄어들 것’(4.3%)이라는 응답은 20.2%였다.
이는 최근 통계청 집계 결과 올해 1월과 2월 취업자 수가 작년 동기 대비 114만명, 104만명 각각 늘어나며 2개월 연속 100만명 이상 증가하는 등 고용시장 개선세가 확연해지는 분위기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응답 기업의 80.1%는 올해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채용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기업이 71.9%, 늘리겠다는 기업이 20.7%로 조사됐다. 줄일 것이라는 기업은 7.4%에 그쳤다. 채용 분야로는 행정·사무(65.8%·이하 복수응답), 제조·엔지니어(62.5%), 영업·영업관리(50.0%), R&D 연구직(39.6%), IT·정보통신(20.4%) 등의 순으로 많았다.
올해 채용시장의 ‘3대 키워드’로는 수시채용, 직무 유경험, 전문성이 꼽혔다.
기업의 62.6%는 올해 채용 경향에 대해 ‘대규모 공채보다 수시채용 비중 증가’를 우선적으로 들었다.
대졸신입 채용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으로는 ‘직무 관련 경험’(64.9%)이 가장 많았고 이어 ‘직무 관련 지식’(57.0%), ‘태도·인성’(53.6%), ‘관련 자격증’(12.3%) 등의 순으로 꼽혔다. ‘어학능력’ ‘학력·학점’은 각각 3.6%에 불과했다.
이런 채용 경향의 변화는 인재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업이 바라는 최고의 인재상은 전문성(52.6%)과 소통·협력(44.7%)을 갖춘 인재로 나타났으며 성실함(26.5%), 열정(15.6%), 도전정신(13.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