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대기업 1년내 만기 차입금 300조 육박
상태바
금리 인상…대기업 1년내 만기 차입금 300조 육박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06.2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이미지
자료이미지

가파른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대기업들이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차입금(유동성 차입금) 규모가 3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기업 중 현대자동차의 유동성 차입금 규모가 33조66억원으로 가장 컸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273개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올 1분기 기준 차입금 규모를 조사한 결과 총 차입금은 840조8481억원이었고, 이 중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유동성 차입금은 293조6929억원(34.9%)에 달했다.

총자산 중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차입금 의존도는 1분기 기준 27.1%로, 코로나 직전인 2019년에 비해서는 0.4%p 낮아졌다.

유동성 차입금 규모는 자동차·부품업종이 가장 컸다.

자동차·부품업종은 전체 차입금의 34.1%인 49조1860억원이 유동성 차입금이었다. 이어 공기업 36조7345억원(21.4%), 석유화학 35조8715억원(38.1%), IT 전기·전자 34조6188억원(43.2%) 등의 순이었다.

기업별로는 현대자동차의 유동성 차입금 규모가 33조66억원으로 가장 컸으며 한국전력공사(17조432억원), 삼성전자(14조7508억원), 한국가스공사(13조213억원), 포스코홀딩스(11조2726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유동성 차입금 비중은 생활용품업종과 조선·기계·설비업종이 50% 이상으로 높았다. 생활용품업종은 전체 차입금 14조5446억원 가운데 58.7%, 조선·기계·설비업종은 총차입금 26조8617억원의 52.6%가 유동성 차입금이었다.

차입금 의존도 상승폭은 통신업종이 컸다. 통신업종은 2019년 25.6%에서 올 1분기 31.6%로 6%p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공기업의 차입금 의존도는 39.3%에서 42.7%로 3.4%p, 자동차·부품업종은 30.9%에서 34%로 3.1%p 올랐다.

기업별로는 SK쉴더스의 차입금 의존도 상승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2019년 2.3%였던 것이 올 1분기에는 64%로 무려 61.7%p나 뛰었다. SK쉴더스는 라이프앤시큐리티홀딩스와 에이디캡스를 합병하면서 차입금 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CEO스코어는 분석했다. 석현주기자·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