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인구 증가로 울산의 고령사회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울산은 2011년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이후 12년만인 지난해 처음 ‘고령사회’(노인 비중 14% 이상)로 진입한 이후 인구 고령화에 속도가 붙고 있다. 수년전만 해도 전국에서 가장 젊고 출산율이 높았던 울산은 이제 저출산·고령화에 인구유출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라는 삼중고에 직면했다. 광역시 소멸위기를 불러오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분야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전략과 대책이 필요하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5월 울산지역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6만8916명으로 전체 인구의 15.26%를 점유했다. 고령사회로 처음 진입한 지난해(14.74%)보다 노인인구 비중이 커졌다. 울산은 이제 세종 경기에 이어 세번째로 노인인구 비중이 높은 도시가 됐다.
출산율 저하와 젊은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평균 수명 증가 등이 울산의 고령화를 재촉하는 요인들이다. 젊은도시 울산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85명로 추락했다. 울산의 인구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청년층을 중심으로 대거 빠져나가면서 3년 연속 순유출율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2030세대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노인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추세대로라면 울산은 2030년 초고령사회(고령인구 20%이상)에 진입할 것이라는 통계청의 추계보다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의 주력 제조업과 생산 인력도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산업현장의 생산 근로자는 고령화로 인해 생산성 약화에 직면해 있다. 대기업 연구소들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옮겨간 탓에 지역 R&D 기능이 약화돼 신규 기술인력 확보는 물론 혁신역량까지 취약하다. 울산의 인구 고령화는 경제 활동 인구 감소와 이로 인한 지역 경제활력 약화로 되돌아 오고 있는 것이다.
광역시 울산의 인구는 빠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 110만명 붕괴가 확실시된다. 생산가능인구를 꾸준히 확보하지 못하면 울산은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수가 없다. 산업현장에 젊은 피를 수혈해야 한다. 주력 제조업의 고도화와 기술 진보를 촉진하고, 지속적인 기업 유치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내야 한다. 숙련된 노동인력과 창의적인 연구인력도 필요하다. 아울러 인구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노인 일자리·주거, 의료 등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분야별 문제점을 재점검해 가장 효과적인 처방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