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역시 울산의 숙원 도시철도, 차질 없어야
상태바
[사설]광역시 울산의 숙원 도시철도, 차질 없어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07.2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도시 철도망이 없는 울산의 도시철도(트램) 구축사업이 살얼음판을 걷듯 위태위태한 모양새다. 사업 추진 이후 지난 20여년동안 노선변경, 사업비 재산정, 예비타당성 무산과 국토부 재검토 등 우여곡절을 겪고서도 여전히 정부의 예비 타당성 관문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조국 근대화의 주역이자 경제성장의 심장인 울산이 도시철도를 구축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은 차고도 넘친다. 정부는 조속히 울산 도시철도 사업의 타당성 재조사 절차를 마무리지어 시민들의 염원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21일 실시한 울산트램 1호선 타당성 재조사 2차 중간 점검회의 결과 울산 1호선 사업의 경제성은 여전히 기준치를 충족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트램 구동 방식을 전기 배터리 방식에서 수소전지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경제성 수치가 종전보다 소폭 상승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시는 울산도시철도 1호선 사업의 경제성이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확보됐다고 판단, 추가 보완 자료 제출 없이 경제성 평가를 완료하고 정책적 타당성 검증 절차로 넘어간다는 계획이다. 수소를 동력으로 하는 울산트램의 친 환경성을 내세워 정책적 타당성을 확보해 오는 8월 중 기재부의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한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시민들은 광역시 승격 27년이 되도록 필수 교통인프라인 도시철도망조차 없는 현재의 울산 교통 상황이 마뜩잖다. 울산시가 계획 중인 도시철도 4개 구간 중 1호선(태화강역~신복로터리) 구간은 첫 삽조차 뜨지 못했다. 울산은 많은 세금을 내는 만큼 국가로부터 SOC 등 공공서비스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 울산은 1인당 연간 국세 납부액 전국 1위 도시다. 울산은 연간 20조원에 달하는 국세를 내고도 국가로부터 받은 국비는 고작 4조원 남짓에 불과하다. 매년 국가예산 확정 이후 ‘울산홀대론’이 제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울산은 KTX경부고속천철이나 동해남부선 등 광역철도망과 연계 도시철도가 없는 국내 유일의 대도시다. 광역철도망과의 연계성이 부족해 도심지가 마치 섬처럼 단절돼 있다. 고질적인 교통난은 시민들의 스트레스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음은 물론이다. 울산도시철도 건설은 시민들의 교통편의 개선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울산시와 정치권은 110만 울산시민의 결연한 의지를 정부에 전달해야 할 것이다. 광역시 울산 시민들도 도시철도의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