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달부터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11종, 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50인 이상 300인 미만 대규모 행사 및 집회에 적용하던 방역패스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일시 중단’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나는 등 상황 변동이 없는 한 계속 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실상 전면 중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다중이용시설이나 행사 입장 시에 QR코드를 인증하거나 음성확인서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 그동안 보건소나 선별진료소, 임시선별진료소 등에서 발급하던 음성확인서 발급도 멈췄다. 또 오는 4월1일 시행될 예정이던 청소년 방역패스도 중단됐다.
또 이날부터 밀접 접촉자 격리 지침도 변경돼 확진자의 동거인도 백신 접종력과 상관없이 모두 수동감시 대상이 됐다. 그동안 동거인 중 백신 미접종자는 7일간 자가격리를 했지만, 이날부터는 격리 의무가 없어졌다.
이번 방역패스 일시 중지 등 주요 방역수칙 대폭 완화에 대해 지역 의료계 관계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류영하 동강병원 호흡기센터장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패스 무용론은 오래전부터 나왔다. 접종은 기본적인 방어체계를 갖추는 보조 수단이지 바이러스가 전염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예방 차원의 접종은 개인의 자율 선택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역패스 중단에 따른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옥민수 울산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방역패스 중단은 적절하지만, 최근 확진자 대다수가 접종하지 않은 청소년으로 동거가족에 대한 감염 확산 우려가 있다. 미접종자 스스로 감염을 최소화하거나 접종에 참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