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어 EU도 철강 장벽 강화, 한국 수출전선 ‘엎친 데 덮친 격’
상태바
미국 이어 EU도 철강 장벽 강화, 한국 수출전선 ‘엎친 데 덮친 격’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5.10.10 0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연합(EU)이 역내 철강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 수입 쿼터를 절반으로 줄이고 관세를 현행 25%에서 50%로 높이겠다고 예고하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당장 시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업계는 미국발 고율 관세 여파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EU까지 수입 장벽을 높일 경우 수출길이 크게 좁아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철강 산업 보호를 위한 규정안을 공식 발표했다. 수입 철강 제품에 적용하는 글로벌 무관세 할당량(쿼터)을 지난해 3053만t에서 1830만t으로 약 47% 축소하고, 쿼터 초과 물량에 대해서는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국가별 쿼터는 추후 무역 상대국과의 협상을 통해 조정된다.

이번 조치는 내년 6월 종료 예정인 철강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종료를 앞두고 발표된 것으로 유럽경제지역(EEA) 국가를 제외한 모든 제3국이 적용 대상이다.

한국은 지난해 약 380만t의 철강 제품을 EU로 수출했으며, 이 가운데 263만t은 국가별 쿼터, 나머지는 글로벌 쿼터를 활용해 무관세로 수출했다. 쿼터 축소와 관세 인상안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한국의 수출 여력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50%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EU까지 유사한 조치를 예고하자 ‘엎친 데 덮친 격’이라며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EU 철강 수출액은 44억8000만달러(약 6조3000억원)로, 미국(43억5000만달러)과 함께 최대 수출시장 중 하나다.

미국의 50% 관세가 본격화된 지난 5월 이후 한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월 -12.4% △6월 -8.2% △7월 -3.0% △8월 -15.4%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업계는 EU가 국가별 쿼터를 개별 협상을 통해 조정하겠다고 밝힌 점에 주목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도 “EU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의 이익을 고려하겠다고 밝힌 만큼 양자 협의를 통해 우리 측 이익을 최대한 지켜낼 것”이라며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을 직접 만나 우리 입장을 적극 개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반구동 빌라 화재로 1명 숨져
  • 정권따라 출렁이는 물정책…회야댐 중대기로
  • 울산, K리그 부진 딛고 ‘ACLE 2연승’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