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업계에 따르면, 분산특구는 지자체가 자체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전력체계’를 구축하는 제도로, 송전 비용을 줄이고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정책이다. 전력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울산 중소 제조업체들에게는 원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제도라는 점에서 큰 관심이 쏠려왔다.
이 가운데 울산은 SK·아마존웹서비스(AWS)와 추진 중인 대규모 AI데이터센터 유치 등 575만배럴 규모의 에너지 저장시설 및 미포국가산단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 전력망 등 분산특구 요건을 두루 갖춘 지역으로 평가받아 왔다. 지역 업계에서는 수소에너지의 생산·공급능력과 스마트 원자로 제조공장 등 울산보다 지정 여건이 유리한 측면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울산의 중소업계 한 관계자는 “울산은 전력 자급률이 110%를 넘고, 산업 인프라·스마트 원자재 제조 기반·수소에너지 생산 능력에서도 경쟁 지역보다 뒤지지 않는다”며 “정부 발표는 지역 산업 구조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꼬집었다. 무엇보다 분산특구 지정을 전제로 전력요금 절감, 안정적 전력공급 체계 전환, 스마트 제조라인 확대 등의 투자 계획을 세워온 만큼 정부 결정에서 제외되며 충격이 크다는 반응이다.
울산시중소기업협회에 따르면 최근 울산 중소 제조업체들은 특구 지정 여부를 △전기요금 경쟁력 확보 △스마트공장 고도화 △수소·풍력 기반 재생에너지 연계 △AI데이터센터 활용 계획 등의 핵심 기준으로 삼아왔다. 이에 업계는 특구 재심의가 늦어질수록 울산기업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다.
변기열 울산시중소기업협회 회장은 “울산은 특구 지정 즉시 시행이 가능한 거의 유일한 지역”이라며 “정부가 명확한 기준과 평가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울산시와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해 재심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면서 정부에 분산특구 재심의를 공식 요구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