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계절한담(閑談)(203)]일주문, 천왕문 거쳐 불이문으로
상태바
[이재명의 계절한담(閑談)(203)]일주문, 천왕문 거쳐 불이문으로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1.05.18 0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재명 논설위원
▲ 통도사 불이문
불기2565년 부처님 오신날이 내일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날 사찰을 찾아 부처님 오신날의 의미를 새길 것이다. 통도사는 5월이 좋다. 특히 일주문(一柱門)을 통과해 무풍한송길은 걷다 보면 아무런 생각이 없어지는 무아지경에 빠진다. 그리고 무서운 표정의 신들이 있는 사천왕문(四天王門)으로 들어서면 아직도 남아있는 근심들이 말끔히 씻겨나간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 불이문(不二門), 비로소 나와 너의 경계가 없어지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여기 오는데/ 평생 걸렸다// 오르막에 지친 무릎/ 수고 많았다// 돌아보면 모든 말들이/ 다 헛소리였다// 비를 기다리던 저녁이/ 붉은 휘장 치는 시간// 그리운 사람도 없으니/ 떠나기 적당하구나

‘불이문’ 전문(전윤호)



사찰을 방문하면 보통 세 종류의 문을 통과하게 된다. 이를 사찰의 삼문(三門)이라고 한다. 첫번째 관문이 일주문이고, 그 다음이 사천왕상이 있는 천왕문이다. 마지막 관문은 불이문 혹은 해탈문이라고 한다.

일주문은 승(僧)과 속(俗)을 경계짓는 관문으로, 기둥을 한 줄로 세워 건축물을 지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주문에는 보통 입차문래 막존지해(入此門來 莫存知解)라는 구절이 걸려 있다. ‘이 문 안으로 들어와서는 보고 듣는 모든 것을 세간의 알음알이로 해석하려 하지 말라’는 뜻이다. 중간문인 천왕문은 불국토를 지키는 동서남북의 사천왕을 모시는 문이다. 사천왕(四天王)은 본래 인도의 고대 신화 속에 등장하는 귀신들의 왕으로서 각기 수미산 중턱의 동서남북을 관장한다고 한다.

불이문은 삼문의 마지막 관문으로 불이(不二)의 경지를 상징한다. 이곳을 통과하면 바로 도리천에 다다른다. 불이는 곧 해탈의 경지이기 때문에 ‘해탈문(解脫門)’이라고도 한다. 모든 번뇌와 망상이 끊어지는 문이다.

불이문까지 오는데 평생이 걸렸다고 시인은 고백한다. 돌아보면 다 헛소리였다고 고백한다. ‘타타타’는 1991년 불자가수 김국환이 불러 많이 알려졌다. 산스크리트어인 이 말을 한자로 옮기면 ‘진여(眞如)’ 또는 ‘여여(如如)’가 된다. 한마디로 모든 분별심이 끊어져 ‘있는 그대로’ 대상이 파악되는 마음 상태를 말한다. 불이문을 통과하면 타타타의 경지에 들어가게 된다.



‘내가 나를 모르는데 넌들 나를 알겠느냐/ 한치 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없지/ 바람이 부는 날엔 바람으로/ 비 오면 비에 젖어 사는거지/ 그런거지~ 음음음 어 허허… ’

이재명 논설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